국어 순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 순화의 문제점과 극복의 길
'우리말 다듬기'사이트의 운영 내용 및 성과
북한의 우리말 다듬기,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프랑스의 자국어 순화
-전문 용어 개발의 중심으로-
국어 순화는 국어 풍요가 되어야 한다
좌담
이곳 이 사람
어원 탐구
우리 시의 향기
우리 소설 우리말
국어 생활 논단
국어학의 이해
국어 산책
국어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원 소식
국어기본법 제정 소식
새국어생활 총목록
권두언
새국어생활 총목록

제1권 제1호(1991. 봄) ~ 제14권 제4호(2004. 겨울)

【제1권 제1호(1991. 봄)】
간행사/ 안병희
좌담/ 국립국어연구원이 세워야 할 좌표
특집/ 한국인의 이름
한국 성씨의 유래와 종류 및 특징/ 이수건
이름의 종류/ 박헌순
한국인의 이름의 변천/ 남풍현
고유어식 사람 이름에 대하여/ 김문창
우리말 이름의 로마자 표기에 관하여/ 서정수
성명학에 대한 인식/ 김백만
나의 의견 우리말 어떻게 할 것인가/ 김정섭
국어 산책 조촐하다는 것/ 김명렬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의 직제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권 제2호(1991. 여름)】
특집/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 국내의 외국인을 위한 교육 기관
‘어학연구소’ 소개/ 문희자2
‘언어교육연구원’ 소개/ 하정자
‘언어교육원 한국어 강좌’ 소개/ 이승환
‘언어연구교육원’ 소개/ 손한
‘한국어문화 연수부’ 소개/ 김기중
- 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독일에서의 한국어 교육/ 홀머 브로홀로스
독일 보홈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 베르너 자세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손호민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간노 히로오미
체코에서 한국학이 걸어온 길/ 블라디미르 푸체크
터키에서의 한국어 교육/ 최한우
폴란드에서의 한국어 교육/ 크리스티나 보야코프스카
프랑스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이진명
- 나는 한국어를 이렇게 배웠다
도여수, 조 우드, 백 마리조, 피터 만릭, 이토 히데토, 왕커취엔(王克全), 크리스 츄
누가 국어사전을 펴 보는가!/ 이상섭
지하철 안내 방송 순화
화법 표준화 사업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권 제3호(1991. 가을)】
특집/ 국어의 경어법
국어 경어법의 일반적 특징/ 성기철
국어 경어법의 변천/ 박양규
경어 사용에서의 방언 차이
- 중부 방언의 경어법/ 유구상
- 경북 방언의 경어법/ 이상규
- 표준어와 서남 방언/ 이기갑
- 제주도 방언 존대법의 특징/ 현평효
북한의 경어법/ 정재영
한국어 경어법과 외국인
일본인이 본 한국어 경어법/ 유타니 유키토시
서양인이 본 한국어 경어법/ 서정천
특별 기고 캐나다 퀘벡과 그 언어/ 원윤수
국어 산책 우리말·우리글 논틀밭틀로 휘뚜루마뚜루 다녀보세/ 유만근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권 제4호(1991. 겨울)】
특집/ 동양 삼국의 언어 정책
한국에서의 외래어 문제/ 김완진
중국 조선어에서의 한어 차용어 문제/ 최윤갑
일본에서의 외래어 문제/ 우메다 히로유키
대만의 현행 외래어의 문제/ 야오롱송(姚榮松)
한국의 한자 문제/ 유창균
일본에서의 한자 문제/ 히다 요시후미
중국 조선 민족 학교에서의 한어 한자 교육에 대하여/ 안운
중국의 한자 간체화 문제/ 천장타이(陳章太)
동양 삼국 언어 정책에 관한 토론회
중국에서 조선 어문 사업에 돌려진 민족 어문 정책을 논함/ 이윤규
국어 산책 우리말 소리에 관한 소고/ 김상준
저작권은 어떻게 보호되나/ 박영근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부록: 주시경 추념문 모음

【제2권 제1호(1992. 봄)】
특집/ 국어 사전의 뜻풀이
사전 정의의 유형과 원칙/ 이병근
표제어의 풀이와 표제어 설정의 문제/ 남기심
국어 사전 뜻풀이와 용례/ 이익환
다의 구분과 순서의 문제/ 이기동
파생 접사의 뜻풀이/ 김창섭
문법 형태소의 뜻풀이/ 성광수
고어의 풀이말/ 홍윤표
국어 사전의 뜻풀이와 유의어/ 김광해
특별 기고 우리나라 조선어 사회학의 과제와 임무/ 정경언
국어 산책 ‘무지한 지성인’론/ 오동환
화법 표준화 사업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2권 제2호(1992. 여름)】
특집/ 광고와 언어
우리나라 광고 언어의 변천사/ 신인섭
광고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김옥순
광고 언어의 심리학/ 김완석
신문 광고와 외래어/ 김세중
광고 언어의 유형과 특성/ 장경희
신문·잡지 광고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이주행
방송 광고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박갑수
우리 시대의 광고 : 광고의 현장
- 광고의 유행어 추구 현상에 대하여/ 이화자
- 여자는 과연 무엇으로 사는가/ 김원규
국어 산책 와어(訛語)에 대하여/ 진태하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2권 제3호(1992. 가을)】
특집/ 언어병리학의 이론과 실제
말-언어 장애/ 이승환
아동기 언어 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메이블 라이스, 배소영
조음 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한정주
실어증 환자의 언어 장애 검사와 치료/ 나덕렬
정신 지체아의 언어 장애 및 치료/ 김영태
언어 장애 어린이를 위한 가정 지도/ 한재순
말더듬의 진단과 치료/ 김화수
발성 장애와 식도 발성/ 이준자
청각 장애에 의한 언어 장애/ 한옥희
인공 달팽이관 수술 환자의 언어/ 윤미선
자폐 아동의 상징놀이와 언어 발달의 비교/ 신문자
특별 기고 연변의 조선어 사용 실태와 그 전망에 대하여/ 최만복
국어 산책 세계가 한곳에 미래가 한눈에/ 강정희
해외 출장 보고
중앙아시아 해외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를 다녀와서/ 서정목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다녀와서/ 이윤하
미국에서의 한국어 사용 실태 조사를 다녀와서/ 윤용선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2권 제4호(1992. 겨울)】
특집/ 동양 삼국의 사전 편찬에 관한 문제
국어 사전의 어원 표시에 대하여/ 이기문
동사 먹다의 사전적 처리를 위한 몇 가지 논의/ 홍재성
중국 조선어 규범 사전에서의 표제어의 수록 원칙과 표제어의 성격/ 김기종
외국인 편찬 한국어 대역 사전의 현황과 문제점/ 간노 히로오미
‘현대한어사전’과 ‘현대한어대사전’/ 단야오하이(單耀海)
방언과 사전 편찬/ 허웨이(賀巍)
일본어의 사전/ 미야지마 다츠오
설명 결합 사전에서의 어휘 정의/ 이고르 멜추크
동양 삼국의 사전 편찬에 관한 토론회
국어 산책 문학적 상상력과 언어학적 지식/ 김규철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부록: 한메 이윤재 선생 기념 문집

【제3권 제1호(1993. 봄)】
특집/ 한국어의 발음
자음의 발음/ 송철의
모음의 발음/ 이승재
소리의 길이/ 지민제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임홍빈
발음 교육의 이모저모/ 이철수
발음 교육의 이모저모/ 임점식
발음 사전의 특성과 활용 방안/ 안상철
‘표준 발음법’과 ‘문화어발음법’규정/ 권인한
방송 언어와 표준 발음/ 이현복
쉽게 쓴 국어 음성학/ 이상억
국어 산책 우리말 규범에 대한 반성/ 안상순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3권 제2호(1993. 여름)】
특집/ 한국어의 의성어·의태어
의성어·의태어의 개념과 정의/ 윤희원
현대 국어 의성 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박창원
의성어·의태어의 통사와 의미/ 채완
국어 사전에서의 의성 의태어 처리/ 조남호
중세국어의 의성 의태어/ 남풍현
의성어·의태어의 시적 위상과 기능/ 성기옥
일본어의 의성 의태어/ 강인선
국어 산책 한글과 기어가는 굼벵이/ 최래옥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3권 제3호(1993. 가을)】
특집/ 외솔 최현배 선생의 학문과 인간
외솔 선생의 학문
국어학사상의 위치/ 김차균
‘우리 말본’의 소리갈/ 김영송
‘우리 말본’의 씨갈/ 서태룡
‘우리 말본’의 월갈/ 권재일
‘한글갈’의 훈민정음/ 강신항
‘한글갈’의 문헌 연구/ 이호권
언어 정책론/ 김하수
외솔 선생의 삶과 생각
겨레의 스승 외솔 최현배 선생을 기리며/ 김계곤
외솔 최현배 선생의 삶의 철학/ 김석득
내가 본 외솔 선생/ 김형규
나와 외솔 선생/ 남광우
외솔 선생은 이러하셨다/ 남기심
내가 아는 외솔 최현배 선생/ 박지홍
몸이 튼튼해야 마음도 튼튼하지/ 최동식
외솔의 한 평생을 지배한 근본 애국 사상/ 허웅
국어 산책 국어 사전과 외래어/ 김용권
해외 출장 보고
중국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김희진
중앙아시아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김세중
일본에서의 한국어 사용 실태 조사/ 조현숙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3권 제4호(1993. 겨울)】
특집/ 북한의 국어 사전
북한 국어 사전에 관한 국제학술회의
사전의 역할에 관해서/ 오오에 다카오(大江孝男)
‘조선말대사전’(1992)의 성격/ 송천식
북한 사전의 음운 정보/ 권인한
‘조선말대사전’(1992)과 문법 정보/ 남기심
북한 사전의 뜻풀이/ 임홍빈
북한의 방언과 사전/ 로스 킹(Ross King)
북한 국어 사전에 관한 국제학술회의 토론회
북한 국어 사전의 검토
북한 사전의 올림말/ 이상복
올림말의 관련 어휘 처리/ 김광해
북한 사전의 발음/ 송철의
북한 사전의 다듬은 말/ 김홍수
국어 산책 우리말의 규범적 질서를 위하여/ 곽광수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4권 제1호(1994. 봄)】
특집/ 한국의 지명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도수희
지명의 전래와 그 유형성/ 이돈주
지명 부여의 과정과 방향/ 권순기
부여 지방의 지명/ 조항범
서울 지방의 지명/ 원학희
제주 지방의 지명/ 강영봉
북한의 지명/ 김영배
동몽선습(童蒙先習)에 대하여/ 이응백
국어 산책 요즘 자주 쓰이는 말의 되짚어 보기/ 박노준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4권 제2호(1994. 여름)】
특집/ 한국의 속담
속담사전 편찬사초/ 심재기
속담의 기능과 의미 구조/ 김종택
속담에 대한 국어학적인 재인식 시도/ 김하수
속담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 표상/ 최상진, 유승엽
한국 속담의 언술구조, 비유법 그리고 서사체에 관한 연구/ 김열규
국어 사전에서의 속담 처리/ 조재수
신조 속담/ 송재선
북한 속담/ 정재영
한국속담관계논저목록
국어 산책 말과 마음가짐/ 안수길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4권 제3호(1994. 가을)】
특집/ 일석 이희승 선생의 학문과 인간
일석 선생의 생애와 학문/ 전광현
일석 이희승 선생과 한글 맞춤법/ 이광호
‘국어대사전’ 편찬/ 김문창
일석 문법의 두 과제/ 박양규
일석 선생의 고전문학 연구/ 김대행
절조와 정서의 문법/ 김용직
조선어학회 사건의 실상/ 임중빈
영영 못 갚을 은혜/ 정양완
일석 선생의 사회활동/ 이종석
연보 연구논저목록
국어 산책 일석 선생과 나와 한글 전용 문제에 대한 회고/ 이석
해외 출장 보고
사할린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전수태
카자흐스탄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김정우
연변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조남호
하얼빈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허철구
‘가나다 전화’ 질의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4권 제4호(1994. 겨울)】
특집/ 갑오경장 100년 기념
신소설에 있어서의 갑오개혁/ 이재선
갑오경장과 어문 정책/ 이응호
갑오경장기의 어휘/ 송민
갑오경장기의 문법/ 이경우
갑오경장기의 문체/ 김형철
갑오경장 전후의 문자 사용 양상/ 정길남
갑오경장 전후의 국문 한문 사용 논쟁/ 김인선
갑오경장이 어문 생활에 끼친 영향/ 이기동
국어 산책 바른 말 고운 말 찾아쓰기/ 정인관
문화예술진흥법에 반영된 국어 발전에 관한 법률 제정/ 최용기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새국어생활 특집 목록(제1권 제1호~제4권 제3호)

【제5권 제1호(1995. 봄)】
특집/ 종합국어대사전 편찬
- 사전 편찬 방향 및 현황
종합국어대사전 편찬 사업/ 강인선
종합국어대사전의 표제어/ 윤용선
북한 말의 수록에 대하여/ 김세중
종합국어대사전의 집필 지침 Ⅰ/ 양명희
종합국어대사전의 집필 지침 Ⅱ/ 정호성
표제어 선정의 제 문제/ 정희원
원고 집필의 실제/ 권인한
원고 교열의 실제/ 임동훈
전산 자료 및 체제의 구축 활용/ 조남호
- 종합국어대사전에 바란다
새로운 국어 사전 기획, 너무나 중요하다/ 홍재성
언어 정보 공유의 계기가 되기를 / 이기용
통일 시대의 민족문화 창달의 길잡이가 되길/ 안삼환
규범성과 충실성의 문제/ 임홍빈
문명국의 사전다운 사전을/ 최원식
- 사전 편찬 경험
사전은 영원한 미완성품/ 신기철
국어 사전에 대한 단상/ 안상순
애환 어린 유물/ 김태주
- 사전편찬실 이야기
사전의 방향 잡기/ 이승재
연구원과 더불어/ 이영경
교열을 하면서/ 신승용
힘들었던 카드 작업/ 이윤경
편찬실에서/ 정혜정
국어 산책 국어 사전과 국어 순화/ 이수열
해외 파견 한국어 교사 제도와 전망/ 최용기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고운 말 쓰기를 생활화합시다

【제5권 제2호(1995. 여름)】
특집/ 국어에 나타난 일본어의 언어적 간섭
조망-국어에 대한 일본어의 간섭/ 김광해
일본 한자어/ 강신항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외래 어휘/ 서정수, 우인혜
일본어투 문장 표현/ 정광
전문 분야 속의 일본어
법령에서 쓰이고 있는 일본식 표기 용어의 정비/ 신각철
신문·방송 분야에 쓰인 일본어/ 박재양
건설·미술 분야의 일본어와 대응 양상/ 허철구
생활 속에 남은 일본말/ 정재도
남북한의 언어 남북한 언어의 차이(1)/ 김민수
고운 말 쓰기 운동 말뿐인 고운 말 쓰기 운동/ 배우리
국어 산책 영한 사전의 번역어 문제/ 황찬호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문화 상담 전화 번호

【제5권 제3호(1995. 가을)】
특집/ 한결 김윤경 선생의 학문과 인간
김윤경 : 조선문자 급 어학사/ 김석득
한결 김윤경의 문법론/ 유구상
김윤경 선생의 일생/ 허웅
나의 아버지 김윤경/ 김순임
나의 스승 김윤경/ 문효근
수필에 나타난 김윤경 선생/ 정현기
한결이 제자들에게 남기신 글/ 문효근 편·해설
남북한의 언어 남북한 언어의 차이(2)/ 김민수
고운 말 쓰기 운동 제멋대로 가는 우리말/ 배우리
국어 산책 상호(商號) 조사의 뒤안/ 임홍빈
국외 출장 보고
사할린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강인선
중국 흑룡강성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김세중
중국 길림성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허철구
우즈베키스탄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정호성
중국 랴오닝성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 임동훈
국어 발전과 보급에 관한 법률 소개/ 최용기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고운 말 쓰기를 생활화합시다
문화 상담 전화 번호

【제5권 제4호(1995. 겨울)】
특집/ 신문·방송 언어
한국 신문 기사의 제목/ 황종인
신문 기사의 문장/ 이주행
신문의 기사와 한자 문제/ 진태하
우리 나라 방송 언어 발음 문제/ 유만근
언어 규범으로서의 방송 어휘/ 박갑수
방송과 신문에 나타난 일본식 말 순화/ 최규일
남북한의 언어 남북한 언어의 차이(3)/ 김민수
고운 말 쓰기 운동 교과서에서도 죽어 가는 우리말/ 배우리
국어 산책 국어 순화/ 권혁채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새국어생활 특집 목록(제1권 제1호~제5권 제3호)
고운 말 쓰기를 생활화합시다
문화 상담 전화 번호

【제6권 제1호(1996. 봄)】
특집/ 언어와 문학
향가의 언어학적 해독/ 이현희
향가의 문학적 해독/ 임기중
고려가요의 어학적 해석/ 김완진
고려가요의 문학적 해독/ 박노준
한국 고전 작품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고영근
텍스트 언어학과 현대문학/ 김태옥
한국한시의 번역 문제/ 이병주
방언과 한국문학/ 김용직
남북한의 언어 남북한 언어의 차이(4)/ 김민수
고운 말 쓰기 운동 말법 따로 말 따로/ 배우리
국어 산책 피진 중국어로는 더 나아갈 수 없다/ 황종인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6권 제2호(1996. 여름)】
특집/ 21세기의 한글
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 이기문
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 강창석
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 송기중
문자 생활과 한글/ 정동환
한국어 글쓰기 교육의 실태와 방안/ 손연자
현대의 한글 글자꼴/ 안상수
전자공학에서 본 컴퓨터와 한글/ 이기성
국어학에서 본 컴퓨터와 한글/ 정인상
국어 산책 표준어, 표준 발음과 국어 생활의 실제/ 송철의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6권 제3호(1996. 가을)】
특집/ 건재 정인승 선생의 학문과 인간
건재 정인승 선생의 생애와 학문/ 김승곤
정인승 선생의 품사론과 문장론 연구/ 권재일
건재 선생의 조어론/ 김계곤
건재 선쟁의 ‘의문·해설 한글 강화’/ 이의도
건재 선생이 사전 편찬에 남긴 이야기/ 이강로
나의 스승 건재 정인승 박사님/ 조오현
나의 아버지 건재 정인승/ 정손모
연보 및 연구 논저 목록
국어 산책 외래어의 오용과 남용/ 김용권
한국어 교육 체험기
길림시 동포에게 한국어를 교육하고서/ 최용기
모스크바 동포 한국어 교사 연수회를 다녀와서/ 정희원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6권 제4호(1996. 겨울)】
특집/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의 역사/ 임홍빈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임동훈
외래어와 발음 문제/ 김상준
외래어 표기, 남북한이 어떻게 다른가 / 김희진
외국어를 귀화시켜 국어다운 외래어로/ 유만근
현행 일본어 표기법과 나의 의견/ 강인선
외래어 표기법과 나의 의견/ 신형욱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비판 분석/ 김세중
국어 산책 고소설 읽기의 사회학/ 소재영
질의와 응답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7권 제1호(1997. 봄)】
특집/ 언어 습득
언어 습득론/ 조숙환
유아기의 언어 습득·인지 발달 측면/ 장유경
언어 습득의 책략과 발달 과정/ 이승복
음성·음운 규칙 발달/ 이기정
아동의 단어 의미 습득/ 이현진
통사 규칙 발달/ 김성찬
언어 습득과 화용 규칙/ 이정민
한국어의 몇 가지 언어문화적 특성과 그 교육/ 김영기
국어 생활 논단 ‘그동안’을 찾아서/ 이익섭
국어 산책 한국어 정책의 문제와 전환의 방향/ 김민수
국어생활 주요 목록(창간호~제23호)
새국어생활 특집 목록(제1권 제1호~제6권 제4호)

【제7권 제2호(1997. 여름)】
특집/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의 성격/ 이익섭
역대 주요 로마자 표기법 비교/ 정희원
국어의 로마자 표기 실태/ 김세중
중국의 로마자 표기 실태/ 허성도
일본 로마자 표기법의 어제와 오늘/ 강인선
나의 책 나의 학문1 나의 책과 학문의 길/ 허웅
어원 탐구1 어린이/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1 익어 가는 포도의 향기와 품격 높은 정신의 향기/ 김현자
국어 생활 논단1 제한된 동사 활용형으로 구성된 관용 표현/ 홍재성
국어학의 이해1 이두(吏讀)와 구결(口訣)/ 이승재
국어 산책 개화기 소설의 국문체와 ‘-ㄴ다’형 문장/ 권영민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7권 제3호(1997. 가을)】
특집/ 열운 장지영 선생의 학문과 인간
장지영 선생의 생애와 학문/ 김민수
열운 선생의 문법 연구와 우리 어문관/ 고영근
열운의 이두 연구 및 기타 연구/ 장세경
열운 선생의 고전문학 연구/ 전규태
일제하 장지영 선생의 민족 운동/ 이현주
나의 스승 열운 선생의 교육 활동/ 문효근
나의 아버지/ 장세경
연보 및 연구 목록
어원탐구2 ‘동산’과 ‘서랍’/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2 청산을 노래하는 생명의 상상력, 청산도/ 김현자
국어 생활 논단3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띄어쓰기/ 이익섭
국어학의 이해2 향찰과 향가/ 박창원
국어 산책 우리말 바로 쓰기 운동을 벌이자/ 송상용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7권 제4호(1997. 겨울)】
특집/ 차자 표기
차자표기의 문자론적 성격/ 송기중
차자표기 연구의 흐름과 방향/ 정재영
차자표기의 어휘론/ 박성종
차자표기의 음운론/ 박창원
차자표기와 형태론/ 백두현
차자표기 자료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박진호
차자표기 자료의 서지/ 남권희
나의 책 나의 학문2 졸필로 못다 한 신비의 학문/ 김민수
어원 탐구3 민며느리/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3 머뭇거림과 망설임이 갖는 소월 시의 아름다움, 가는 길/ 김현자
국어 생활 논단4 법률 문장 순화돼야 한다/ 박갑수
국어학의 이해3 훈민정음/ 이현희
국어 산책 시대와 말/ 나영균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8권 제1호(1998. 봄)】
특집/ 사전 편찬에 대한 국어학적 접근
접두사의 사전적 처리/ 김창섭
접미사의 사전적 처리/ 구본관
의존명사의 사전적 처리/ 채완
조사의 사전적 처리/ 유동석
어미의 사전적 처리/ 임동훈
명사의 사전적 처리/ 홍종선
동사·형용사의 사전적 처리/ 홍재성
표준 발음의 사전적 처리/ 권인한
나의 책 나의 학문3 나의 책, 나의 연구 / 강신항
어원 탐구4 말본/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4 살아 있는 것들의 동일성과 절제된 거리 의식-김광섭의 시 <봄>읽기/ 김현자
국어 생활 논단5 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 이익섭
국어학의 이해4 문자와 표기/ 김문창
국어 산책 외국 참고서에서 보는 한국어에 대한 시각/ 이상섭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8권 제2호(1998. 여름)】
특집/ 외래어 사용 실태와 순화 방안
외래어의 개념과 변천사/ 김세중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 대책/ 송철의
방송 분야의 외래어 사용/ 이은경
컴퓨터 통신 분야의 외래어 사용/ 이정복
신문·잡지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 고성환
상호·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이선영
나의 책 나의 학문4 나의 책, 나의 연구/ 이응백
어원 탐구5 국어학의 경계를 넘어/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5 금(金)결의 님과 옛 오동(梧桐)의 숨은 소리/ 김현자
국어 생활 논단6 중국 동포의 모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어제와 오늘/ 이득춘
국어학의 이해5 표준어/ 이병근
국어 산책 실험관 속의 ‘먹거리’/ 이익섭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8권 제3호(1998. 가을)】
특집/ 석인 정태진 선생의 학문과 인간
석인 정태진 선생의 생애와 학문/ 장세경
석인 선생과 문법/ 이남순
석인 정태진과 방언 연구/ 이병근
석인 선생의 옛말 연구/ 서상규
석인 선생과 조선어학회 사건/ 이응호
석인 선생과 사전 편찬/ 이강로
나의 아버지 석인 정태진/ 정해동
석인 선생을 추모하며-영생여고 제자 좌담회
연보 및 연구 목록
어원 탐구6 납청장, 손돌바람, 안동답답이/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6 자화상의 내면적 깊이와 아청빛 우주/ 김현자
국어 생활 논단7 새로운 사전관의 필요성/ 한영균
국어학의 이해6 방언/ 최명옥
국어 산책 두 언어의 국경지대에서 본 우리말/ 안인희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8권 제4호(1998. 겨울)】
특집/ 방언
국어의 방언 구획/ 최명옥
중부 방언/ 박경래
서북 방언/ 김영배
동북 방언/ 곽충구
서남 방언/ 이기갑
동남 방언/ 이상규
제주 방언의 특징에 대하여/ 정승철
연변 방언/ 전학석
나의 책 나의 학문5 학문이 움튼 때/ 이기문
어원 탐구7 후추와 고추/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7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의 의미/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8 좋은 텍스트를 만드는 길/ 고영근
국어학의 이해7 자음 체계와 자음 동화/ 송철의
국어 산책 한글과 한국어/ 이종숙
특별 강연 「혼불」과 국어사전/ 최명희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9권 제1호(1999. 봄)】
특집/ 국제 한자의 표준화
국학 연구용 상용한자 제정안/ 허성도
국어생활의 한자 사용 빈도 연구/ 김흥규
국어사전 표제어의 한자 빈도/ 남윤진
국제표준문자코드 제안 한자 자형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이재훈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권인한
한자 이체자전 편찬 연구/ 이준석·이경원
나의 책, 나의 학문6 나의 책 나의 학문/ 유창균
어원 탐구8 딤채와 디히/ 이기문
우리 시의 향기8 이육사의 「절정」과 <강철로 된 무지개>의 의미/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9 청조의 청문감 편찬/ 성백인
국어 산책 국어생활과 국어 연구/ 홍윤표
특별 기고1 카자흐스탄 한인 동포와 모국어/ 임홍빈
특별 기고2 일본 국립국어연구소의 현황/ 민현식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9권 제2호(1999. 여름)】
특집/ 한자 문화권의 한자 교육
한자 문화권/ 송기중
중국의 한자 교육/ 이규갑
일본의 한자 교육/ 이한섭
대만(중화민국)의 한자 교육/ 임동석
북한의 한자 교육/ 김민수
한국의 한자 교육/ 송재소
나의 책 나의 학문7 나의 책 나의 학문/ 김완진
어원 탐구9 신생 한자어의 성립 배경/ 송민
우리 시의 향기9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를 다시 생각하며/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10 한자어와 한자혼용/ 남풍현
국어학의 이해8 구개음화/ 김주필
국어 산책 한 문학인의 눈에 비친 현대 언어학은?/ 김열규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9권 제3호(1999. 가을)】
특집/ 최세진의 학문과 인간
최세진의 생애와 업적/ 정 광
훈몽자회와 한글 맞춤법/ 채 완
최세진의 번역 활동/ 강식진
최세진의 음운 연구/ 강신항
최세진의 저서 해설/ 김희진
어원 탐구10 한자어 ‘기선(汽船), 기차(汽車)’의 연원/ 송 민
우리 시의 향기10 정지용의 시 「무서운 시계」를 바르게 읽는 법/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11 지명 해석의 새로운 인식과 방법/ 도수희
국어학의 이해9 움라우트/ 박경래
국어 산책 토박이 땅이름의 한자식 표기/ 배우리
독자 투고란 ‘현해탄’이란 말 쓰지 말자/ 이진원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9권 제4호(1999. 겨울)】
특집/ 한국인의 글쓰기
글쓰기 능력의 중요성/ 이익섭
교과서 문장 실태/ 이현우
대학생들의 글쓰기 실태와 지도 방안/ 원진숙
한국인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단어와 문장의 오류/ 허철구
바른 글쓰기/ 장경희
문장상담소(writing center)제도의 도입을 위하여/ 김광해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김석득
어원 탐구·고대어 ‘횃불’에 대하여/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기계(器械)’에서 ‘기계(機械)’가 되기까지/ 송민
우리 시의 향기 김소월의 산유화-“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의 경우/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 한국 성명의 생성 발달/ 도수희
국어학의 이해 모음조화와 모음 체계/ 곽충구
국어 산책 이른바 이체자 ‘ᅌ, ㄹ·ᅀ’의 제자 방법에 대한 반성/ 임용기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0권 제1호(2000. 봄)】
특집/『표준국어대사전』 발간
「표준국어대사전」편찬 경과/ 조남호
「표준국어대사전」의 특징/ 최혜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반영된 ‘어문 규범’의 원리와 실제/ 정희창
「표준국어대사전」 수록 정보의 통계적 분석/ 정호성
「표준국어대사전」에서의 정의9뜻풀이)에 대하여/ 이병근
용언의 동음이의어의 설정 기준에 대하여-「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이희자
「표준국어대사전」과 어문 규범/ 안상순
문제점이 많은 표준국어대사전/ 조재수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이승욱
어원 탐구·고대어 ‘조롱곳’의 ‘곳’에 대하여/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경제(經濟)’의 의미 개신/ 송민
우리 시의 향기 정지용의 「향수」-‘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의 경우/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 존칭접미사의 생성 발달에 대하여/ 도수희
국어학의 이해 음장(音長) 및 성조(聲調)/ 이상억
국어 산책 일등 국민과 이등국민으로 가를 셈인가-영어를 공용어로 삼는 문제에 대하여/ 박강문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0권 제2호(2000. 여름)】
특집/ 학교 문법
학교 문법, 표준 문법, 규범 문법의 개념과 정의/ 임홍빈
우리나라 학교 문법의 역사/ 고영근
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 이관규
21세기의 문법/ 김광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민현식
한국어 교육을 위한 표준 문법의 개발 방향/ 권재일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안병희
어원 탐구·고대어 ‘마아’에 대하여/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시계(時計)’의 차용/ 송민
우리 시의 향기 소월 시에서 잘못 읽은 <어그점>과 <자즈르는 수심가>/ 권영민
우리 소설 우리말 채만식의 금의 정열을 읽고/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한자의 의미 자질을 찾아서/ 허성도
국어학의 이해 불규칙 활용/ 배주채
국어 산책 오얏론(論)/ 민경탁
북한 새소식 개정된 북한의 띄어쓰기 규정/ 전수태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0권 제3호(2000. 가을)】
특집/ 서파 유희 선생의 학문과 인간
유희의 학문과 생애/ 정양완
‘언문지’에 나타난 국어 음운 연구/ 정경일
『물명류고』의 이본과 국어학적 특징에 대한 관건/ 전광현
『물명류고』의 생물학적 연구/ 김대식
『태교신기』에 대하여/ 정양완
유희의 전기 및 감제 시권/ 김민수 해설·옮김
어원 탐구·고대어 ‘열명’에 대하여/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생존 경쟁(生存 競爭)’의 주변
우리 소설 우리말 현진건의 『무영탑』, 그 미문주의의 허실/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새로 발견된 각필 부호 구결과 그 의의/ 이승재
국어학의 이해 표준 발음/ 권인한
국어 산책 연구 자료의 영인/ 김영배
독자 투고 새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비판 기사를 읽고/ 윤주환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0권 제4호(2000. 겨울)】
특집/ 로마자 표기법 정착 방안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 경위/ 김세중
새 로마자 표기법의 특징/ 정희원
종전 로마자 표기법의 이론과 실용상 문제점/ 유만근
설득, 이해, 실천의 의지/ 권재일
확고한 의지, 광범하고 꾸준한 홍보/ 김명식
성(姓)의 로마자 표기 방안/ 허철구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이병선
어원 탐구·근대어 ‘대통령(大統領)’의 출현/ 송민
어원 탐구·고대어 ‘아’와 ‘’사이, 그리고 이상곡/ 김완진
우리 시의 향기 김영랑의 「연1」을 읽으면서/ 권영민
국어 생활 논단 21세기 재중 동포의 언어 전망/ 이득춘
국어학의 이해 한자음/ 김무림
국어 산책 초등학교 교과서 다시 쓰자/ 권오운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1권 제1호(2001. 봄)】
특집/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하여
남북한 언어 이질화와 그에 관련된 몇 문제/ 곽충구
남북 규범문법의 통일 방안/ 고영근
서로 다른 표기법의 통일 방안/ 전수태
서로 다른 어휘의 동질성을 위한 방안/ 최호철
서로 다른 정보기술 용어의 동질성 회복 방안/ 김병선
언론의 남북한 언어 동질성 회복 방안/ 김태식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와 한국 문헌학의 체계/ 유탁일
어원 탐구·고대어 만엽(萬葉)의 식물(植物)들/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자유(自由)’의 의미 확대/ 송민
우리 시의 향기 이육사의 시 「파초(芭蕉)」/ 권영민
우리 소설 우리말 이문구, 고유어의 마지막 파수꾼/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언어의 관용적 성격/ 남기심
국어학의 이해 합성어/ 김창섭
국어 산책 국어와 세계화/ 김대행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1권 제2호(2001. 여름)】
특집/ 한국어 자료 정리 방안
문화유산으로의 국어/ 남기심2
한국어 음성 자료의 수집과 정리/ 이호영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최명옥
한국어 전자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활용 방안/ 홍윤표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이남덕
어원 탐구·고대어 ‘소성대(昭聖代)’에 대한 한 생각/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사진(寫眞)’과 ‘활동사진(活動寫眞), 영화(映畵)’/ 송민
우리 시의 향기 김영랑의「달」을 보며/ 권영민
우리 소설 우리말 사상의 하강, 언어 표현력의 상승/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한국한자음의 특성/ 이돈주
국어학의 이해 파생어/ 송철의
국어 산책 신문에서 로마자가 쓰이는 몇 가지 모습/ 최인호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1권 제3호(2001. 가을)】
특집/ 설총 선생과 국어
설총과 국어/ 안병희
설총과 차자표기법/ 남풍현
고대 삼국의 언어 표기관/ 이기문
고대의 ‘방언’과 그 유사 지칭어/ 이승재
신라 유학과 설총의 학문/ 김항수
어원 탐구·고대어「원왕생가」의 ‘念丁’에 대하여/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합중국’과 ‘공화국’/ 송민
우리 시의 향기 바람의 상징성/ 김옥순
우리 소설 우리말 국어 사랑, 시대의 한복판을 뚫은 명작의 버팀목/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자원과 어원에 대하여/ 최창렬
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의 명사Ⅰ/ 홍재성
국어 산책 국어의 주변/ 장재성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1권 제4호(2001. 겨울)】
특집/ 영어 공용어화
공용어의 개념과 영어 공용어화 논쟁/ 김세중
언어학에서 본 영어 공용어화: 언어생태학의 시각/ 박병수
문화적 관점에서 본 영어 공용어화/ 조동일
영어 공용론자의 언어관과 문화/ 정대현
영어 공용론의 정치적 의미/ 김영명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학문 나의 반성/ 천시권
어원 탐구·근대어 ‘열대·온대·냉대’의 출현/ 송민
어원 탐구·고대어 만엽의 식물명에 가탁하여/ 김완진
우리 시의 향기 이육사의 시 「반묘(斑猫)」/권영민
우리 소설 우리말 이태준의 이론과 실천의 틈/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어휘 생태계의 역학적 현상/ 홍사만
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의 명사Ⅱ/ 홍재성
국어 산책 벼이삭을 그러모으며/ 민충환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2권 제1호(2002. 봄)】
특집/ 띄어쓰기
띄어쓰기의 현황과 전망/ 이익섭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정희창
명사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시정곤
법률의 띄어쓰기/ 허철구
신문의 띄어쓰기/ 여규병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삶·나의 학문/ 박태권
어원 탐구 ‘문설주’와 그 주변/ 김완진
어원 탐구·근대어 ‘병원’의 성립과 정착/ 송민
우리 시의 향기 김소월의 시 <꿈>/ 권영민
우리 소설, 우리말 박태원 소설, 장문주의의 미학과 비의/ 조남현
국어 생활 논단 시어와 민족어 완성의 길/ 김재홍
국어학의 이해 수량 표현/ 김영희
국어 산책 신문에서의 동물 이름 표기/ 황성규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2권 제2호(2002. 여름)】
특집/ 한국인의 국어 능력
국어 능력 평가의 의미/ 권영민
한국인의 국어 능력 실태/ 민현식
국어 교육과 국어 능력/ 노명완
자국민에 대한 미국의 영어 교육/ 하광호
자국어 능력 배양을 위한 프랑스의 노력/ 한선혜
자국어 능력 배양을 위한 일본의 노력/ 민광준
어원 탐구 사과참외와 참죽나무/ 김완진
우리 시의 향기 시인의 언어 구사-정지용의 경우-/ 유종호
우리 소설, 우리말 <임꺽정>에 나타난 아름다운 우리말/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조선 시대 언간과 국어 생활/ 황문환
국어학의 이해 대명사/ 장경희
국어 산책 한자어와 관계있는 우리말의 어원/ 진갑곤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2권 제3호(2002. 가을)】
특집/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신숙주의 생애와 학문/ 안병희
신숙주와 훈민정음/ 이돈주
신숙주와 운서/ 강신항
신숙주의 문학과 사상/ 이이화
신숙주와 집현전 학자들/ 민현구
어원 탐구 ‘아빠, 아버지’의 어원/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시인의 언어 구사-김소월과 개작-/ 유종호
우리 소설, 우리말 북한과 연변 소설의 속담에 관한 단상/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이런 호칭 저런 호칭-특히 가족 간의 호칭을 중심으로-/ 정양완
국어학의 이해 동사(1)/ 홍재성
국어 산책 목포·무안 지방의 방언을 찾아서/ 오홍일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2권 제4호(2002. 겨울)】
특집/ 문장부호
문장부호의 중요성과 우리의 현실/ 이익섭
옛 문헌의 각종 부호를 찾아서/ 이승재
현행 문장 부호의 사용 실태/ 양명희
현행 문장 부호의 미비점과 대안/ 임동훈
남북한 문장 부호 비교/ 전수태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삶·나의 학문/ 김계곤
어원 탐구 ‘오빠’와 ‘누나’의 어원/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시와 방언/ 유종호
우리 소설, 우리말 살아 있는 우리말 어휘의 맛-김소진 소설어를 중심으로-/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우리말을 훼손하는 문학작품들/ 권오운
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의 동사(Ⅱ)/ 김종명
국어 산책 번역에서 배운 우리말의 소중함/ 이한우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3권 제1호(2003. 봄)】
특집/ 표준화법
오늘날 언어 현실과 표준 화법의 중요성/ 강신항
현행 표준 화법의 미비점/ 김세중
표준 화법의 문제와 개선 방향/ 전영우
표준 화법의 요건과 보급 방안/ 김희진
통신 언어의 표준 화법/ 이정복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삶·나의 학문/ 전재호
어원 탐구‘고드름’의 어원과 의미/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시와 방언/ 유종호
우리 소설, 우리말 소설을 더욱 맛나게 하는 언어-김주영의 <객주>에 나타난 속담·상말을 중심으로-/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한글’의 작명부(作名父)는 누구일까/ 고영근
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의 동사(Ⅲ)/ 김현권
국어 산책 청소년들의 튀는 언어와 한 술 더 뜨는 방송 언어-청소년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주는 방송 언어 오용 사례-/ 김기운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3권 제2호(2003. 여름)】
특집/ 국어 진흥을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
국어 정책과 국어기본법의 방향/ 김갑수
국어 기본법과 국어 생활 향상을 위한 제도/ 권재일
언어생활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 황성규
공공 부문 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정희원
국어 상담사 제도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 남영신
프랑스의 모국어 보호 정책과 법2제/ 김현권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나의 학문/ 장태진
어원 탐구 ‘화냥’의 어원과 의미/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시와 방언 혹은 구석진 말/ 유종호
우리 소설, 우리말 박완서가 만들어 낸 우리말의 아름다움/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영어 공용어화 주장의 허구성/ 채희락
국어학의 이해 형용사/ 유현경
국어 산책 한국어와 민족 정신/ 최경봉
고전의 향기 <용비어천가>에 대하여/ 조흥욱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3권 제3호(2003. 가을)】
특집/ 국어의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
기초 어휘의 개념과 중요성/ 김광해
영어의 기초 어휘 연구/ 권혁승
일본어의 기초 어휘 연구/ 이한섭
중국어의 기초 어휘 연구/ 양오진
기초 어휘 선정 방법론/ 임칠성
국어 기초 어휘 및 기본 어휘 연구사/ 이희자
국어 기본 어휘 선정의 현황과 과제/ 조남호
10월의 문화 인물: 월명
국어학에서 살펴 본 월명 향가의 특성/ 김완진
향가로 읽는 월명의 문학 세계/ 박노준
신라 불교와 월명/ 고영섭
어원 탐구 지명 어원 몇 가지(1)/ 조항범
우리 소설, 우리말 윤홍길이 만들어내는 소시민들의 입담/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한국 말본 의식의 싹-《삼국유사》의 “조사(助辭)” 산출의 토양적 여건에 대하여/ 문효근
국어학의 이해 형용사(Ⅱ)/ 유현경
고전의 향기 <월인천강지곡>에 대하여/ 조흥욱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3권 제4호(2003. 겨울)】
특집/ 방언과 문화
방언 조사와 연구의 의의/ 최명옥
바람직한 방언 조사 방법과 활용 가치/ 박경래
문학 작품에 나타난 방언/ 이상규
지역 문화와 방언/ 이기갑
나의 책 나의 학문 교수의 길·학문의 길/ 유목상
어원 탐구 지명 어원 몇 가지(2)/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시와 고유명사/ 유종호
우리 소설, 우리말 몸으로 배운 언어의 걸쭉한 맛-한창훈의 소설 <홍합>을 읽으며/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널리 쓰이는 외래어와 외국어/ 강신항
국어학의 이해 문장의 주요 성분/ 이홍식
국어 산책 한국어와 민족 정신/ 최경봉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4권 제1호(2004. 봄)】
특집/ 표준어 정책, 비판적 접근과 대안 모색
표준어 정책의 회고와 반성/ 박갑수
표준어 규범과 현실
- 표준어 사정 기준과 표준어의 성격/ 김주필
-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김선철
- 표준어, 어떻게 할 것인가/ 안상순
신어와 표준어/ 박용찬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김세중
기획 특집
‘새로운 표준어 정책의 모색’에 대한 토론문/ 민현식
<간담회> 광복 이후 표준어 정책의 회고와 전망
<토론회> 새로운 표준어 정책의 모색을 위하여
어원 탐구 지명 어원 몇 가지(3)/ 조항범
국어 생활 논단 상황과 말씨의 선택-신문 기사 제호의 간접 명령을 중심으로-/ 고영근
국어학의 이해 조사/ 유동석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4권 제2호(2004. 여름)】
특집/ 외래어와 외국어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정희원
외래어가 국어에 끼친 공과/ 강신항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박창원·김수현
외래어의 올바른 수용 태도/ 유재원
나의 책 나의 학문 국어학의 길을 걸어온 지 40년/ 장세경
어원 탐구 네티즌들이 궁금해하는 어원 몇 가지(1)/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윤동주의 ‘무서운’ 아이러니-‘팔복’ 깊이 읽기-/ 이상섭
우리 소설, 우리말 ‘황진이’의 서울 나들이/ 민충환
국어 생활 논단 한자 표기 원지음주의(原地音主義)의 문제/ 김민수
국어학의 이해 명사화/ 홍종선
국어 산책 영어 열풍에 대한 몇 가지 생각/ 김영명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4권 제3호(2004. 가을)】
특집/ 바람직한 국어 생활을 위한 국어 교육
초등학교 말하기 듣기 교육/ 심영택
초등 읽기 교육의 균형 잡기/ 이성영
초등학교 쓰기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박태호
중등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과 문제/ 이관규
중등학교 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유수열
10월의 문화 인물: 최항
훈민정음 창제와 최항/ 김민수
최항의 경서 구결에 대하여/ 안병희
최항 선생의 생애와 주요 업적/ 최명재
나의 책 나의 학문 고노 로쿠로(河野六郞) 선생과 나/ 신창순
어원 탐구 네티즌들이 궁금해하는 어원 몇 가지(2)/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윤동주의 ‘심각한’ 아이러니-‘참회록’ 깊이 읽기-/ 이상섭
우리 소설, 우리말 아홉 장의 편지가 전하는 것-‘이사종의 아내’에 대하여-/ 김철
국어 생활 논단 국어 궁중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장태진
국어학의 이해 관계화/ 이필영
국어 산책 다시 한글날을 맞으며/ 남영신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

【제14권 제4호(2004. 겨울)】
특집/ 언어와 사회
계층별 언어 변이/ 황선혜
남자와 여자의 언어, 어떻게 다른가/ 전혜영
연령과 언어 변이/ 박경래
국립국어원의 언어 실태 조사/ 양명희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이론과 방법/ 채서영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삶 나의 학문/ 김영배
어원 탐구 네티즌들이 궁금해하는 어원 몇 가지(3)/ 조항범
우리 시의 향기 윤동주의 ‘순교적’ 비전-‘십자가’ 깊이 읽기-/ 이상섭
우리 소설, 우리말 ‘한국어’의 근대-근대 한국어 글쓰기의 ‘외래성’에 대한 한 단상-/ 김철
국어 생활 논단 성씨 김(金)의 한자음 연원을 찾아서/ 권인한
국어학의 이해 국어의 부사화/ 민현식
국어 산책 ‘국어 야전 사령부’/ 여규병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