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순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 순화의 문제점과 극복의 길
'우리말 다듬기'사이트의 운영 내용 및 성과
북한의 우리말 다듬기,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프랑스의 자국어 순화
-전문 용어 개발의 중심으로-
국어 순화는 국어 풍요가 되어야 한다
좌담
이곳 이 사람
어원 탐구
우리 시의 향기
우리 소설 우리말
국어 생활 논단
국어학의 이해
국어 산책
국어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원 소식
국어기본법 제정 소식
새국어생활 총목록
국립국어원 소식
국립국어원 소식

    1. 보고서 발간

  2004년 12월 연구 사업의 결과를 보고서로 발간하여 배포한 것은 <표 1>과 같다.

<표 1> 2004년 연구 보고서
번호 제목

담당자

1 안전 설명문의 실태 연구

김문오

2 주요 국가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양명희
3 국어학 연감 2004 최용기
4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 용례집 정희원
5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연구 전수태
6 표준 발음 실태 조사 3 최혜원
7 2004년 신어 박용찬
8 중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분석 연구 이준석
9 국어 연구 논저 목록 Ⅲ [1971-2003] (시디롬) 최용기
10 북한의 국어 연구 자료 구축 1 [1946-2000] (시디롬) 이준석


          1.1. 안전 설명문의 실태 연구

  각종 안전 설명문 84건을 조사하여 문제점이 있는 문장들을 뽑아 그 실태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 보고서이다. ‘고압가스 취급 요령’, ‘비상시 대피 요령’, ‘소화기·소화전 사용법’, ‘승강기 사용법’ 등의 안전 설명문은 우리의 생명이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것인데도 읽어서 쉽게 조치를 취하기 어렵게 된 글이 많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는 안전 설명문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안전 설명문의 실태 연구’라는 보고서를 펴냈다.
  이 보고서는 안전 설명문 ‘원문’에 ‘수정문’과 ‘설명’을 덧붙이고 부록으로 사진도 첨부하였다. 소방방재청, 한국소방안전협회,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한국산업안전공단, 노동부 산업안전과, 한국철도공사 안전계획처, (주)로템 철도차량연구소 연구개발기획팀, 소화장비 생산업체 등의 안전 관련 기관과 단체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를 배포하였다(국배판(A4), 189면).


          1.2. 주요 국가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주요 국가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은 국립국어원이 올해부터 추진하는 ‘국민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 사업’의 기초 연구를 위해, 사회언어학 전공 학자들에게 독일,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에 관한 집필을 의뢰하여, 그 원고를 묶어 발간한 논문집이다.
  이 책에 수록된 논문과 집필자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전춘명(한신대 독문과)’, ‘미국 사회언어조사의 연구 동향: 이동은(고려대 국제어학원)’, ‘영국의 사회언어학: 김용진(숭실대 영문과)’, ‘일본 사회언어학의 개관: 홍민표(계명대 일본학과)’, ‘프랑스의 사회언어학 현황 소개: 송기형(건국대 불문과)’. 부록으로 국내에서 연구·발표된 사회언어학 관련 논저 목록을 실었다(신국판, 233면).


          1.3. 국어학 연감 2004

  국어학계의 연구 동향과 성과 등을 정리하여 국어 연구와 국어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 책은 해마다 발간된다. 이번 2004년판은 1992년 초판이 발간된 이후에 열세 번째로 낸 것으로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학의 연구 동향, 국어학 관계 문헌, 국어학 관계 명부, 색인 등이 실렸다. 국어학의 주요 일지에는 2003년에 일어난 국어학계의 중요한 일을 정리하였다. 국어학의 연구 동향에는 국어 정책,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음성학·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국어사·국어학사, 문자·표기, 방언·사회언어학의 열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폈으며, 국어학 관계 문헌에는 열 분야의 논저 목록과 정기 간행물 목록을 수록하였다. 특히 이번 2004년판에는 ‘한국어 교육’ 분야를 처음으로 신설하였다. 또한 국어학 관계 명부는 국어학 인명록, 전국 대학 국어학 관계 학과, 국어학 관계 학회 및 단체, 국어 정책 관계 위원회 등을 수록하였다(신국판, 836면).


          1.4.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 용례집

  2004년 12월 제정된 동남아시아 3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어 해당 언어의 표기법과 그에 따른 표기 용례를 제시한 보고서이다.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에 대해 외래어 표기법이 새로 제정되었지만 고유 문자가 따로 있고 특수 부호가 많은 이들 언어에 대해 표기 세칙을 일일이 적용하여 표기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용례집에는 일반 용어, 지명, 인명 등 주요 용례 1,500여 항목에 대해서 원어와 표준 한글 표기, 간략한 해설을 수록하여 올바른 외래어 표기를 찾아보기 쉽게 하였다.
  이 책에는 그 밖에도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 제정의 경위와 특징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부록으로 새 표기법이 제정됨으로써 한글 표기가 달라지는 용례들을 따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한글 찾아보기를 수록하였다. 2004년 말에 보고서를 발간하여 주요 언론사, 출판사 및 공공도서관 등에 배포하였다(사륙배판, 106면).


          1.5.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을 위한 학술회의를 대비하여 남북한 학자들이 다같이 자료로 쓸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어문 규범의 네 영역인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 부호, 표준 발음에서 남북한 차이가 있는 20여 항목을 뽑아 그 각각에 대하여 분단 이전인 1933년의 규범과 분단 이후 남북한에서 각각 변화하여 현행에 이르는 과정을 질서 있게 정리한 것이다. 이 보고서는 남북 관계 부처, 언론계, 학계에 배포하였다(신국판, 190면).


          1.6. 표준 발음 실태 조사 3

  국내의 발음 실태 조사로는 가장 큰 규모로, 표준어권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 인천, 경기도 출신의 40대 이상 1174명의 주민에게 ‘잎, 밭, 부엌, 햇빛’ 등 받침이 ‘ㅍ, ㅌ, ㅋ, ㅊ’로 끝나는 38개의 단어가 모음 조사(‘이’, ‘에(서)’, ‘을, 으로’, ‘의’, ‘아’)와 결합할 때 나타나는 발음형을 물어 본 결과를 담은 보고서이다. 조사 결과 대체로 흔히 쓰이는 단어의 받침을 표준 발음으로 발음한다는 비율이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표준 발음으로 발음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앞으로도 국립국어원에서는 현대 국어의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어권을 비롯한 전국적인 언어 실태 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사륙배판, 164면).


          1.7. 2004년 신어

  2004년 신어는 국립국어원이 2004년 2월부터 9월까지 주요 중앙 일간지와 방송에서 사용된 신어 2,241개를 뽑아 여기에 어원과 뜻풀이를 밝혀 한데 모아 놓은 자료집이다. 이 자료집에서는 조사된 신어를 2004년에 즈음하여 새로이 만들어져 쓰인 말(신조어) 626개와 오래전부터 쓰여 왔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국어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사전 미등재어) 1,615개를 따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조사된 각각의 신어에 대하여 어원, 뜻풀이, 용례, 출전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당 신어가 2004년 이전에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가장 이른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용례와 출전도 함께 제시하였다. 그리고 부록으로 이 자료집에 수록된 신어의 ‘가나다순 목록’과 ‘역순 목록’을 첨부하여 신어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더욱 쉽게 그 내용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사륙배판, 434면).


          1.8. 중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분석 연구

  중학교 전 과목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중학교 교과서에는 어떤 한자어가 쓰이고 있으며, 그 실태 및 특성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주된 내용이다. 각 교과 과목별로 분포하는 한자어 및 그 한자어에 해당하는 한자의 실태와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민현식(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와 5명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사륙배판, 621면).


          1.9. 국어 연구 논저 목록 Ⅲ [1971-2003]

  국어 연구 자료를 구축하는 사업은 지난 2002년부터 시작되었다. 이번에 나온 ‘국어 연구 논저 목록 Ⅲ’은 1971년부터 2003년까지 발표된 국어 연구 논저 목록을 수집하고 정리한 것이다. 수록된 전체 논저 목록은 47,850여 건이며 단행본, 학위 논문, 일반 논문, 기타 목록 순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종류, 저자, 제목, 출전, 발행처 등을 기준으로 손쉽게 정렬할 수 있도록 정렬용 파일을 함께 수록하였으며 논저 목록 파일은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구분자와 탭을 이용하여 편집하였다. 부록으로 ‘국어학 연감 2004’ 파일을 함께 수록하였다(80mm 미니 시디롬(CD-ROM)).


          1.10. 북한의 국어 연구 자료 구축 1 [1946-2000]

  광복 이후 1946년부터 2000년까지 북한의 국어학자들과 중국을 비롯한 공산권의 국어학자들에 의해 북한과 외국에서 이루어진 국어 연구 논저 목록 5,509종을 정리한 것이다. 각 논저 목록의 맨 앞에 단행본, 학위 논문, 일반 논문, 기타 등의 분류를 하였다(80mm 미니 시디롬).


    2. 주요 회의 개최 소식

          2.1.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회의 개최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를 위한 공동위원회 제61차 회의가 2004년 12월 14일에 열렸다. 이 회의에서 심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61차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결정안 (2004. 12. 14.)
[인 명]
·곤잘러스, 앨버토 Alberto Gonzales 1954~ 미국 법무장관.
·구티에레즈, 칼로스 Carlos Gutierrez 1953~ 미국 상무장관.
·그로스, 데이비드 David J. Gross 1941~ 미국 물리학자.
·기타가와 가즈오 北側一雄 1953~ 일본 국토교통상.
·나카야마 나리아키 中山成彬 1942~ 일본 문부과학상.
·니컬슨, 짐 Jim Nicholson 1938~ 미국 재향군인장관.
·다나하시 야스후미 棚橋泰文 1963~ 일본 과학기술상.
·대슐Tom Daschle (Thomas Andrew Daschle) 1947~ 전 상원 민주당 원내총무.
·레빗, 마이클(마이크) Michael(Mike) O. Leavitt 1950~ 미국 보건장관.
·로즈, 어윈 Irwin Rose 1926~ 미국 화학자.
·리, 재닛 Janet Leigh 1927~2004 미국 여자 배우.
·리드, 해리 Harry Reid 1939~ 미국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
·리브, 크리스토퍼 Christopher Reeve 1952~2004 미국 영화배우.
·마이어스, 해리엇 Harriet Miers 1944~ 미국 대통령 법률 고문.
·마타이, 왕가리 Wangari Maathai 1940~ 케냐 여성 환경보호 운동가.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村上誠一郞 1952~ 일본 규제개혁상.
·무라타 요시타카 村田吉隆 1944~ 일본 국가공안위원장.
·바스케스, 타바레 Tabaré Vázquez 1939~ 우루과이 대통령.
·버세스쿠, 트라이안 Traian Bǎsescu 1951~ 루마니아 대통령.
·벅, 린다 Linda B. Buck 1947~ 미국 신경 생리학자.
·베레시체틴, 블라들렌 Vladlen Vereshchetin 유엔 ICJ(국제사법재판소) 판사. 러시아인.
·보드먼, 새뮤얼 Samuel Bodman 1937~ 미국 에너지장관.
·사강, 프랑수아즈 Françoise Sagan 본명 프랑수아즈 쿠아레 Françoise Quoirez 1935~2004 프랑스 소설가, 극작가.
·샐린저, 피어 Pierre Salinger 1924~2004 미국 저널리스트.
·소 윈 Soe Win 1947~ 미얀마 총리.
·소르망, 기 Guy Sorman 1944~ 프랑스 문명 비평가.
·쉬들란, 핀 Finn E. Kydland 1943~ 노르웨이 정치 경제학자.
·스펠링스, 마거릿 Margaret Spellings 1957~ 미국 교육장관.
·시마무라 요시노부 島村宜伸 1934~ 일본 농림수산상.
·시하모니, 노로돔 Norodom Sihamoni 1953~ 캄보디아 국왕.
·알자와히리, 아이만 Ayman al-Zawahiri 1951~ 알카에다 제2인자.
·애버던, 리처드 Richard Avedon 1923~2004 미국 사진 작가.
·액설, 리처드 Richard Axel 1946~ 미국 신경 생리학자.
·야누코비치, 빅토르 Viktor Yanukovych 1950~ 우크라이나 총리
·얀샤, 야네즈 Janez Janša 1957~ 슬로베니아 총리.
·옐리네크, 엘프리데 Elfriede Jelinek 1946~ 오스트리아 여류 소설가, 극작가, 시인.
·오노 요시노리 大野功統 1935~ 일본 방위청장관.
·오쓰지 히데히사 尾辻秀久 1940~ 일본 후생노동상.
·윌첵, 프랭크 Frank Wilczek 1951~ 미국 물리학자.
·유셴코, 빅토르 Viktor Yushchenko 1954~ 우크라이나 대통령.
·이토 다쓰야 伊藤達也 1961~ 일본 금융상.
·조핸스, 마이크 Mike Johanns 1949~ 미국 농무장관.
·주르차니, 페렌츠 Gyurcsány Ferenc 1960~ 헝가리 총리.
·쩐 득 르엉 Trân ƉƯc LƯơNG 1937~ 베트남 정치가.
·차, 빅터 Victor D. Cha 1961~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장
·치에하노베르, 아론 Aaron Ciechanover 1947~ 이스라엘 화학자.
·케릭, 버나드 Bernard Kerik 1954~ 미국 전 뉴욕 시경 본부장
·파투, 라우히 Rawhi Fattouh 1948~ 팔레스타인 자치 평의회(의회) 의장.
·폴리처, 데이비드 H. David Politzer 1949~ 미국 물리학자.
·프레스콧, 에드워드 Edward C. Prescott 1940~ 미국 정치 경제학자.
·해들리, 스티븐 Stephen J. Hadley 1947~ 미국 대통령 보좌관(국가안전보장 담당).
·헤르슈코, 아브람 Avram Hershko 1937~ 이스라엘 화학자.

[일반 용어]
·유비퀴틴 ubiquitin 진핵(眞核) 세포에 널리 분포한 단백질로, 다른 세포 단백질과 결합하여 분해 대상임을 알리는 지표 물질.


          2.2. 국어심의회 표기법분과위원회 개최

  국어심의회 표기법분과위원회(위원장: 변광수 한국외대 교수)는 아래와 같이 회의를 개최하여 ‘고구려’의 로마자 표기 문제를 논의하였다. 고구려는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Goguryeo로 적어야 하나, 최근 북한과 중국이 고구려 관련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Koguryo로 표기함으로써 국내외 표기 통일 문제가 제기되었던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립국어원이 제출한 동남아시아 3개 언어(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표기법안도 검토하여 승인하였다.
(1) 일시: 2004년 11월 30일(화) 14:00
(2) 장소: 문화관광부 회의실
(3) 참석자: 변광수(위원장, 한국외대), 이상억(서울대), 박창원(이화여대), 정국(한국외대), 홍연숙(한양대), 조명화(서원대), 김한란(성신여대), 김세중(간사, 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장), 정희원(서기, 국립국어원 연구관), 조중식(국어민족문화과 서기관)
(4) 안건:
  (가) ‘고구려’의 로마자 표기
  (나)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 제정
(5) 결정 사항:
  (가) 고구려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원칙에 따라 Goguryeo로 하되 국제관계상 필요한 경우에는 괄호 안에 Koguryo를 병기할 수 있다.
  (나)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은 국립국어원의 시안을 추인한다.


          2.3. 동남아시아 언어 외래어 표기법 제정

  문화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2004년 12월 20일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등 동남아시아 3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을 고시하였다. 1986년에 제정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는 동남아시아 언어들에 대해 자세한 표기 규칙이 없어 외래어 표기법의 일반 원칙에 따라 표기하였으나 현지 발음과 지나치게 동떨어지게 되어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3년여의 연구 끝에 개별 언어의 특성을 반영한 동남아시아 3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을 작성하였고 국어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게 되었다.
  동남아시아 언어 외래어 표기법의 가장 큰 특징은 된소리 표기 (ㄲ, ㄸ, ㅃ)를 허용한 것이다. 그동안 ‘ㅆ, ㅉ’ 등은 일본어와 중국어 표기에 사용하여 왔으나 ‘ㄲ, ㄸ, ㅃ’은 외래어 표기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번에 새 표기법을 제정하면서 우리말처럼 g(ㄱ):k(ㄲ):kh(ㅋ) 소리가 구분되는 타이어와 베트남어에 대해서는 된소리를 쓰도록 하였다. 다만 말레이인도네시아어처럼 g(ㄱ):k(ㅋ) 두 가지 구분만 존재하는 언어에 대해서는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된소리를 쓰지 않는다.
  그 밖에도 새 표기법은 단어 중간의 ng를 ‘응’으로 적고 (Nguyen 구엔→응우옌), 음절말 파열음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도록(Lombok 롬보크→롬복) 하였다. 베트남어의 tr을 ‘ㅉ’으로, nh를 ‘니’로 적으며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e는 ‘에’와 ‘으’로 나누어 적도록 하는 등 개별 언어의 특성을 대폭 수용하였다. 동남아시아 3개 언어의 표기 일람표와 표기 세칙 등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http://www.korean.go.kr)에서 찾아볼 수 있고, 그 외에도 대한민국정부 전자관보(http://gwanbo. korea.go.kr) 제15876호 2004년 12월 20일 제28면~제32면, 문화관광부고시 제2004-11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4. 국립국어원 월례 발표회

    (1) 언어정책 집중 토론회 제1회 개최
ㆍ 발표자: 정갑영(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장)
ㆍ 일시: 2005. 1. 29.(토) 10:00 ~ 12:00
ㆍ 주제: 우리나라 문화 정책의 이해와 전망
ㆍ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회의실

    (2) 언어정책 집중 토론회 제2회 개최
ㆍ 발표자: 박수영(한국외국어대학교 헝가리어과)
ㆍ 일시: 2005. 3. 5.(토) 10:00 ~ 12:00
ㆍ 주제: 근대 헝가리 언어개혁과 21세기 헝가리 언어정책
ㆍ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회의실


    3. 국어 진흥 활동

          3.1.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 사이트 운영

  국립국어원은 함부로 쓰이는 외래어와 외국어를 걸러 내고, 우리말을 더 다듬어 가꾸기 위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우리말 다듬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운동은 2004년 7월 5일부터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 사이트를 마련하여 운영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국립국어원이 다듬어 써야 할 외래어와 외국어를 매주 하나씩 선정하여 발표하면 일반 국민이 그 말을 대신할 우리말을 자유롭게 제안하여 결정하도록 하였다.
  2004년 12월 중순 이후부터 2005년 3월 말 현재까지 이 사이트를 통하여 일반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다듬은 말은 다음과 같다.

다듬을 말 다듬은 말
블로그
(blog)
개인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웹 사이트. 누리사랑방
드라이브
(drive)
어느 한 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이나 세력을 끌고 가거나 집중하는 일. 몰아가기
스타일리스트
(stylist)
옷이나 실내 장식 따위와 관련된 일에 조언을 하거나 지도하는 사람. 맵시가꿈이
파파라치
(paparazzi)
불법 사실을 캐내어 보상금을 타 내는 사람. 몰래제보꾼
그린 프리미엄
(green premium)
녹지대가 많아 공기가 맑을 뿐만 아니라 조망권·일조권이 충분히 확보되는 데 따라 본래의 아파트 값에 덧붙이는 값.
※‘덧두리’는 ‘정해 놓은 액수 외에 얼마만큼 더 보탬. 또는 그렇게 하는 값’이란 뜻의 고유어.
환경덧두리
플리 바게닝
(plea bargaining)
범죄 혐의가 있는 피의자가 자기가 저지른 죄를 스스로 인정하여 고백하는 대가로 검찰이 가볍게 구형하는 일이나 그런 제도. 자백감형제(도)
매스티지
(masstige)
‘대중[mass]’과 ‘명품[prestige product]’을 합성하여 새로 만들어 낸 말로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명품. 대중명품
와이브로
(WiBro)
휴대 전화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일이나 기술. 휴대누리망
노미네이트
(nominate)
어떤 상의 후보자로 지명되는 일. 후보지명
마리나
(marina)
해변의 종합 관광 시설 해안유원지
커플 매니저
(couple manager)
결혼 정보 회사에 소속되어 서로 어울릴 만한 남녀를 소개하여 결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
※ 다듬은 말 ‘새들이’는 ‘①물건을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 사이에 흥정을 붙이다. ②혼인을 중매하다.’라는 뜻의 동사 ‘새들다’에서 만든 말.
새들이
박스 오피스
(box office)
영화나 연극 따위에서 흥행 수익을 이르는 말. 흥행수익
빅 리그
(big league)
프로 축구나 프로 야구 따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나 등급에 속하는 리그. 최상위연맹


          3.2.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 운영

  국립국어원이 2005년 1월~3월 동안 일반 국민을 상대로 국어문화학교를 운영한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원내 국어문화학교

  원내 국어문화학교 국어반 강좌는 2005년 1월에 동계 교사직무연수를 2회 실시하였고, 3월에 공무원, 출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가 2회 실시되어, 총 371명이 수강하였다.

  1월부터 3월 사이에 열린 시기와 수강 인원은 다음과 같다.
제120기 2005. 1. 10.~1. 14. 교사직무연수, 5일간 30시간, 39명
제121기 2005. 1. 17.~1. 21. 교사직무연수, 5일간 30시간, 35명
제122기 2005. 3. 14.~3. 18.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64명
제123기 2005. 3. 21.~3. 25.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33명

              (2)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는 1월에 7회 374명, 2월에 11회 678명, 3월에 27회 2120명, 총45회 강좌를 열어 총인원 3172명이 수강하였다.


    4. 국립국어원 인사

전보 발령 (2005. 1. 26.)
최무홍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장 → 예술원사무국 진흥과장
김진호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획과장 →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장
엄기훈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행정사무관 → 문화관광부 체육교류과 행정사무관
정인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총무과 행정사무관 →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행정사무관
김현준 문화관광부 행정사무관 →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행정사무관
조현나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행정주사 → 문화관광부 관광자원과 행정주사
이운동 문화관광부 스포츠여가산업과 행정주사 →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행정주사
한정숙 국립국어원 언어정책부 전산주사 → 국립현대미술관 교육홍보과 전산주사
김수미 국립현대미술관 교육홍보과 전산주사 → 국립국어원 언어정책부 전산주사
 
임용 (2005. 2. 1.)
김유선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전기서기보

    5. 우리말 가꾸기 운동: ‘엽서’ 대신 ‘말터 사이트’ 이용 당부

  국립국어원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도움으로 우리말을 지키고 가꾸는 운동을 벌이고자, 우리말 가꾸기 운동 동참 안내 엽서를 권말에 붙여 왔으나 최근에는 그 호응도가 낮아 2005년 봄호부터는 권말에 엽서를 붙이는 일은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외국어가 우리 언어생활 속에서 굳어지기 전에 이를 갈음할 수 있는 적절한 우리말이 생각나시면 주저마시고,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사이트인 ‘말터 사이트(www.malteo.net)’를 이용하여 제안해 주시거나, 국립국어원의 국어 순화(우리말 다듬기) 담당자인 박용찬 연구관(전화: 02-2669-9735, 전자 우편: [email protected])에게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아시는 각 지역의 토박이말 (지역어, 방언) 중에서 언어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크다고 생각하시는 말이 있으면 자세한 설명 자료를 국립국어원의 방언 연구 담당자인 박민규 연구관(전화: 02-2669-9733, 전자 우편: [email protected])에게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보내 주신 자료는 언어 문화유산 연구, 지역어 연구에 소중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