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사회에서의 문화 상호 교류
다문화 사회에서 한국어 교육 방안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언어교육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 이주민과 인권 현황
일본 다문화·다언어 사회의 정책과 논의
이곳 이 사람
어원 탐구 
우리 시의 향기
우리 소설 우리말
국어 생활 논단
국어 산책
국어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원 소식
특집: 국어 생활 논단 
‘꼬마’의 어원

김영일·계명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1.


  우리말에서 ‘어린이’를 지칭하는 ‘꼬마’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 여러 견해가 제기되어 있다. 
  김민수편 우리말 어원사전(164쪽)에서는 고마[妾, 敬]를 어원으로 보고 이것이 ‘꼬마’로 변한 것으로 설명하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중세어에서 ‘고마’는 ‘첩’이라는 뜻과 함께 ‘삼가 높이 여김’의 의미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은 동일어로부터의 의미 파생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고마’는 기원적으로 태음신(太陰神)을 의미했던 ‘’으로부터의 파생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또 조항범 교수의 다시 쓴 우리말 어원 이야기(65-66쪽)에서도 ‘꼬마’의 어원을 중세국어 ‘고마[妾]’로 보고 있다. 
  한편 서정범 교수의 국어 어원 사전(112쪽)에는 ‘꼬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꼬마는 ‘꼬’와 ‘마’의 합성어다. ‘꼬’는 ‘고’로 소급된다. 곧>골>고>꼬의 변화로서 일본어에서 ko(子)가 있다. ‘곧(골)’은 본디 사람의 뜻을 지닌다. ‘마’는 ‘고마(妾)’의 ‘마’, 할미(祖母)의 ‘미’등과 동원어(同源語)로서 사람의 본뜻을 지닌다.름(莊頭)<漢 5:31>,슴(머슴)<華方>등의 어근 ‘, ’등도 본디 사람의 뜻을 지닌다. ‘꼬마’는 “子人”의 본뜻을 지니는 말로서 소아, 유아(幼兒)의 뜻을 지닌다고 여겨진다.


  먼저, ‘꼬마’의 어원이 ‘고마[妾, 敬]’라는 견해에 대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중세국어에서 敬을 뜻하는 ‘고마’의 성조는 상-거성이고 妾을 뜻하는 ‘고마’의 성조는 평-거성으로서 두 말의 성조가 다르다. 성조가 다른 이 두 말을 동일어로부터의 의미 파생으로 보는 견해나 더욱이 ‘고마’가 기원적으로 태음신을 의미한 ‘’에서 파생되었다고 보는 견해는, 그 비합리성 및 구체적인 근거의 부실로 인해 받아들이기 어렵다.
  현대국어 ‘꼬마’의 어원을 ‘고마[妾]’로 보는 견해 또한 문제가 없지 않다.
  중세국어의 ‘고마[妾]’는 다른 단어와 더불어 단어족(word family)을 형성하는 일이 없이 고립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 단어가 차용어일 가능성을 말해 준다. 妾을 뜻하는 중세국어의 ‘고마’는 중세 몽골어 quma의 차용어로 알려져 있다(이기문 1991:246-247).
  몽골어에서 quma가 사용된 예가 뽀뻬(Поппе1938:309)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quma abuba ‘첩을 얻었다’


  妾을 뜻하는 ‘고마’가 어린아이를 뜻하는 ‘꼬마’로 그 의미가 바뀌었다는 것과 중세몽골어 quma의 차용어인 이 ‘고마’에서 현대국어 어형 ‘꼬마’가 나왔다고 보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서정범 교수의 ‘꼬마’에 대한 어원 풀이는 도무지 종잡을 수가 없다. ‘꼬마’를 ‘꼬’와 ‘마’의 합성어라고 하고 ‘꼬’는 ‘곧’에 소급하며 이 ‘곧’이 사람의 뜻을 지닌다고 한 점, ‘마’는 ‘미’등과 동원어로서 사람의 본뜻을 지니며 ‘꼬마’는 子人의 본뜻을 지니는 말이라고 한 점 등은, 구체적인 근거 제시가 전혀 없어 도저히 수긍할 수가 없다.



2.

  ‘꼬마’의 어원과 관련하여 우선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꼬마’는 ‘작음’을 뜻하는 말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형태와 의미면에서 ‘꼬마’와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어형들 다시 말하면 ‘꼬마’와 한 단어족을 형성하는 어형들을 문헌 자료와 현대국어에서 찾아 제시해 보기로 한다.

 

고모도적(小毛賊) ‘좀도둑’ <박통사 신석언해 2:41>
고믈젓- ‘細小하다’ <첩해신어 9:8>
고막 魁蛤 如棗栗小蛤 <유씨물명 2>
고막조개(蚶) <물보>


  현대 국어 어형들은 사전류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막(→꼬막)
고매(→꼬마)<경북>
고무도둑 ‘좀도둑’의 방언‘<경상>
고무라기 ‘떡의 부스러기’
고무락(→고무라기)
고물 ‘떡에 묻히는 가루모양의 가는 재료’
고밀고밀 ‘꼼꼼하고 찬찬한 모양’
곰곰하- ‘찬찬하고 자세하다’
곰살궂- ‘꼼꼼하고 자세하다’
곰상곰상 ‘성질이나 행동이 잘고 꼼꼼한 모양’


  한편 곰- 계열어는 경음화하여 꼼- 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꼬마동이 ‘꼬마’
꼬막(小蛤)
꼬막손 ‘손가락이 짤막한 조막만 한 손’
꼬망이(→꼬마동이)<경북>
꼬맹이(→꼬마동이)
꼬물 ‘조금’
꼼꼼쟁이 ‘꼼꼼한 사람’의 낮은 말
꼼꼼하- ‘매우 찬찬하고 자세하다’
꼼바르- ‘좀스럽고 인색하다’
꼼바리 ‘꼼바른 사람’
꼼쟁이(→꼼바리)<전남>
꼼쥐(→꼼바리)<전남>
꼼지-(→옹졸하-)<평북>
꼼치(→잔챙이)
꼬막배미: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서호리 신기동 옆에 있는 
작은 논
꼬막시앰: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화봉리 화봉 서쪽에 있는 
작은 우물


  위에 제시한 어형들의 어원핵(etymon)은 곰(>꼼)으로 잡을 수 있고 그 주된 의미는 小, 細로 볼 수 있다.

 



3.

  한편 ‘꼬마’와 ‘꼬망이(>꼬맹이)’를 비교해 보면 이 두 어형의 지시의미는 같으나 형태가 이질적이다. 형태의 이질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말 어말자음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1) 바닥 ‘바다’의 방언<경남, 전남>1)

2) 바닿: 香水 바다히니<월인석보 1:23>
3) 바당 ‘바다’의 방언<제주>
4) 바다


  우리말에서 海를 뜻하는 어형으로 위 1)~4)의 4가지가 나타나는데(이밖에 *바(海等)>바>바(~바르)(海)도 있다), 그 변화의 선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5) 바닥  -   >바당
-   >바닿>바다


5)와 유사한 어형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6) 索曰那又<계림유사>
7) 밯: 두 머리 바흐로 얽어고 <禪眞逸史 3:75>
8) 바: 술윗  다 됴야 잇다<번역노걸대, 하:36>
9) 빵(<방): 걸, 멜, 질

6)의 朴을 *박의 표기로 보면 6)~9)의 어형 변화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0) *박
    (索)
-   >방(>빵)
-   >밯>바


 위의 5)와 10)을 참고하여 어형 ‘꼬마’와 ‘꼬망이’의 변화과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꼬막 -   >꼬망>꼬망이>꼬맹이
-   >*꼬맣>꼬마


  요컨대 현대국어의 ‘꼬마’는 小를 뜻하는 어원핵 ‘곰’에 어근 형성소 ‘-악’이 붙어서 된 ‘고막’이 어두자음의 경음화와 어말자음 탈락현상을 겪어서 형성된 것이며 ‘꼬망이(>꼬맹이)’는 ‘고막’이 어두자음의 경음화와 어말자음의 변화를 겪은 다음 -이가 첨가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이 두 어형은 동원어(同源語)이다.

  어근 형성소 -악(-억)은 주로 단음절 어형에 붙어 어형 확대 및 어형의 안정성 확보 구실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뜨락(=뜰+-악), 쪼각(=쪽+-악)
구석(-굿+-억), 구덕(=굳+-억)

  小, 細를 뜻하는 한국어 어원핵 ‘곰’의 대응형을 우리는 일본어에서 찾을 수 있다.

11) komaka 1)粉狀인 상태 2)小粒形
12) komake 잘게 나눈 것
13) komagoma(細細) 작은 모양
14) komakasi 상세한
15) komagane(細金) 小粒의 銀貨
16) komagoto(細言, 細事) 중얼거리는 말, 자질구레한 일2)

  위의 11)~16)에서 koma가 쉽게 추출되는데 이 koma는 한국어 어원핵 ‘곰’과 형태·의미상 정확하게 대응한다.
  


참고 문헌

이기문(1991),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大野晋外(19807), 岩波 古語辭典, 岩波書店
Поппе, Н. Н.(1938), Монгольскийсловарь Мукадимат ал-адаб, Мoсква-Ленингра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