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국어원 동향
1.1.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 국립국어원 방문
김명곤 장관이 업무 보고를 받는 모습2006년 4월 27일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이 국립국어원을 방문하여 국어원의 주요 업무 계획을 보고받고 직원들을 격려하였다.
◦일자: 2006. 4. 27.(목), 08:55 〜 09:55
◦보고 사항
- 일반 현황(연혁, 임무, 조직, 인원 및 예산) /성과 관리 추진 계획 /주요 현안 사항/ 사례 조사 보고(국어사전 음성 듣기 서비스, 한국어의 지역적 분포 조사 등) 참석자 토론
◦장관 당부 사항
- 최근 국회 문광위에서 이계진 의원이 지적한 바와 같이 어문 규범이 잘못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많음. 교육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하여 개선 방안을 강구해 주기 바람.
- 문화관광부를 비롯한 정부 기관에서 외래어를 너무 많이 사용하고 있음. 특히 법률 분야와 전자 통신 분야의 용어에 외래어가 많은데, 안 써도 되거나 잘못 알고 있으면서 남용하고 있으니 국어원에서는 관심을 갖고 외래어 남용 실태를 조사하여 대안을 강구해 주기 바람.
- 사라져 가고 있는 토착어는 사투리와 토씨 하나하나마다 그 지역 사람들의 역사적 전통과 삶의 정서가 담겨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임. 이의 보존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북한 지역을 포함한 토착어의 지역적 분포 조사를 대대적으로 실시하여 보존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일반 국민들도 관심을 갖도록 홍보에도 힘써 주기 바람.
- 이제까지 연구 기능만을 수행해 온 종전 국어원의 고착된 이미지를 벗어나 대중과 함께 하는 정책 개발과 고객 접점의 확장에 힘써, 연구 결과를 국민에게 어떻게 서비스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등 변화하는 모습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기 바람.
- 국립국어원의 고객은 일반 대중이 주 고객이면서도 국제결혼 이주 여성이나 외국인 근로자 등 다양한 특수 계층이 있는데, 이들 고객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노력해 주기 바라며, 외국의 한류 지역에 대한 한국어 보급 사업도 체계적으로 추진해 주기 바람.
1.2. 친따나 판팍 태국 왕실연구소 사무총장 국립국어원 방문
친따나 판팍 태국 왕실연구소 사무총장이 2006년 5월 17일 국립국어원을 방문하여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과정에 대해 깊은 관심을 나타내며 국립국어원의 사전 편찬 경험을 배울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이상규 국립국어원장은 한국과 태국의 관계는 앞으로 더욱 밀접해질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한국 정부가 태국인 이주 여성의 교육에 신경을 쓰는 만큼 태국 정부도 태국 내의 한국어 교사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친따나 판팍 태국 왕실연구소 사무총장이 방문 취지를 말하는 모습
 |
2. 주요 회의 개최
2.1. 제1차 국어능력향상정책협의회 개최
문화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2006년 5월 9일 문화관광부 5층 제1회의실에서 제1차 국어능력향상정책협의회를 열었다. 국어능력향상정책협의회란 국어기본법 제22조의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는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는 데에 힘써야 하며 국어 능력의 향상에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라는 조항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에 동법 시행령 제16조 ‘국어능력향상정책협의회의 설치와 구성’에 따라 정부 각 부처와 공공 기관의 국어책임관에게 국어능력향상정책협의회 위원 위촉패를 수여하였다. 이 자리에는 국어책임관 27명이 모여 효율적인 협의체 운용 방안에 관해 논의하고 노현정 국립국어원 홍보대사의 강연도 있었다.
국립국어원 가족과 국어책임관의 기념 촬영 모습
 |
◦ |
회의 소집 근거: 국어기본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령 제16조 |
◦ |
일시: 2006. 5. 9.(화) 15:00~17:00 |
◦ |
장소: 문화관광부 5층 제1회의실 |
◦ |
참석자 |
- |
문화관광부 : 장관, 국립국어원장(의장), 문화정책국장, 국어정책진흥본부장 등 |
- |
재정경제부 등 24개 중앙 행정 기관의 국어책임관 |
- |
국립국어원 홍보대사 노현정 아나운서(KBS) |
◦ |
목적: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 정책의 수립과 시행 |
◦ |
안건 |
- |
공공 기관 국어 사용 실태 소개 |
- |
국어책임관 구실 설명 및 업무 지침서 배포 |
- |
국어 능력향상정책협의회 운영 계획안 발표 및 토론 |
- |
국어 능력향상정책협의회 위원 위촉패 수여 |
◦ |
향후 계획 |
- |
구체적 사업 시행을 위한 지침의 구체화 |
◦ |
전자 우편이나 인터넷 게시판을 통한 시기별, 사안별 사업 지침 제공 |
◦ |
사업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 자료들을 수요 조사를 통해 제공 |
◦ |
활동 평가를 위한 구체적 기준을 마련하여 제시 |
- |
법적·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검토 및 개선 모색 |
◦ |
국어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법 개정을 추진 |
◦ |
정책협의회의 구성 및 위상을 검토 후 개선안 마련 |
- |
정책협의회 활동의 효율화 방안 모색 |
◦ |
정책협의회의 활동을 보좌하는 실무협의회 구성 |
◦ |
국어 관련 전문직 또는 계약 전문직 채용 추진 |
2.2. 2006년도 제3회, 제4회 언어 정책 토론회 개최
2.2.1. 2006년도 제3회 언어 정책 토론회
뇌와 언어의 관계를 설명하는 남기춘 교수의 모습
 |
◦ 주제: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표상 양식
◦ 발표자: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일시: 2006년 4월 26일(수) 15:00 〜 17:00
◦ 지정 토론자: 정희창(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세미나실
2.2.2. 2006년도 제4회 언어 정책 토론회 개최
◦ 주제: 민속 문화의 종 다양성과 언어 정책
◦ 발표자: 주강현 (한국민속연구소장, 한국역사민속학회장)
◦ 일시: 2006년 6월 1일(목) 15:00 〜 17:00
◦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세미나실
2.3. 국립국어원 제1차 혁신 회의 개최
국립국어원에서는 2006년 제1차 혁신 회의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였다. 여기에서는 김세중 국어정책팀장이 기조 발제를 한 후 이와 관련한 자유로운 의견 개진으로 진행되었다. 김세중 팀장은 사전 편찬 경과, 사전의 문제점, 사전 개편 방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발제를 하였는데, 사전뿐만 아니라 언어 정책 전체의 나아갈 방향을 함께 다룸으로써 국립국어원의 이후 정책 방향까지 폭넓게 제시하였다.
◦ 일시: 2006년 6월 1일 (목) 오전 10:00〜12:00
◦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세미나실
◦ 주제: 국립국어원 사전 사업의 나아갈 방향
◦ 발제자: 김세중 국어정책팀장
◦ 사회자: 양명희 국어실태연구팀장
2.4. 정부 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 위원회 개최
2.4.1. 제69차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 위원회 결정안(2006. 5. 25.)
- [인명]
- ● 나세르, 알무하마드 알아마드 알사바 Nasser al Muhammad al-Ahmad al-Sabah 1940~ 쿠웨이트 총리.
- ● 나폴리타노, 조르조 Giorgio Napolitano 1925~ 이탈리아 대통령.
- ● 노가이델리, 주라브 바니아 Zurab Noghaideli 1964~ 그루지야 총리(2005. 2.~ ).
- ● 닐손, (메르타) 비르기트 (Märta) Birgit Nilsson 1918~2005 스웨덴 소프라노 가수.
- ● 디오구, 루이자 디아스 Luísa Dias Diogo 1958~ 모잠비크 총리(2004. 2. 17.~ ).
- ● 레이바, 피오 Pio Leyva 1917~2006 쿠바 가수, 작곡가.
- ● 렘, 스타니스와프 Stanisɫaw Lem 1921~2006 폴란드 공상 과학 소설(SF) 작가.
- ● 리, (넬) 하퍼 (Nelle) Harper Lee 1926~ 미국 소설가.
- ● 리, 브루스 Bruce Lee 1940~1973 미국 태생의 홍콩(香港)계 배우. 중국명 리 샤오룽(李小龍).
- ● 리, 스파이크 Spike Lee 1957~ 미국 영화 감독.
- ● 리안 李安 영어명 앵 리 Ang Lee 1954~ 대만 영화 감독.
- ● 마드라이위위, 라투 조니 Ratu Joni Madraiwiwi 1957~ 피지 부통령.
- ● 미야모토 유지 宮本雄二 1946~ 주중국 일본 대사.
- ● 보니, 야이 Yayi Boni 1952~ 베냉 대통령.
- ● 세벨레, 프레더릭 바카우타 Frederick Vaka’uta Sevele 1945~ 통가 총리(2006. 3. 30.~ ).
- ● 세션스, 마이클 Michael Sessions 1987~ 미국 힐즈데일 시장.
- ● 슈워브, 수전 Susan Schwab 1954~ 미국 USTR 부대표.
- ● 슈타이너, 아힘 Achim Steiner 1961~ UNEP 사무국장.
- ● 스노, 토니 Tony Snow 1955~ 미국 백악관 대변인.
- ● 스테이플턴, 모린 Maureen Stapleton 1925~2006 미국 여배우.
- ● 심프슨밀러, 포샤 Portia Simpson-Miller 1945~ 자메이카 총리.
- ● 알마무디, 알바그다디 알리 al-Baghdadi Ali al-Mahmoudi 1946~ 리비아 전인민위원회 서기(총리).
- ● 알말리키, 누리 Nouri al-Maliki 1950~ 이라크 총리.
- ● 오언스, 벅 Buck Owens 1929~2006 미국 가수.
- ● 워드, 하인스 Hines Ward 1976~ 미국 풋볼 선수.
- ● 위더스푼, 리스 Reese Witherspoon 1976~ 미국 여배우.
- ● 위버, 데니스 Dennis Weaver 1925~2006 미국 배우.
- ● 체임벌린, ‘윌트’ [윌턴 노먼] ‘Wilt’ [wilton Norman] Chamberlain 별명 윌트 더 스틸트 Wilt the Stilt 1936~ 미국 농구 선수.
- ● 추말리, 사야손 Choummaly Sayasone 1935~ 라오스 부통령 (2001. 3.~ ).
- ● 켐프손, 더크 Dirk Kempthorne 1951~ 미국 아이다호주 지사(1998~ ).
- ● 클루니, 조지 George Clooney 1961~ 미국 배우.
- ● 프러퓨모, 존 Jone Profumo 1915~2006 영국 정치가.
- ● 하니야, 이스마일 Ismail Haniya 1962~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총리.
- ● 헤이든, 마이클 Michael Hayden 1945~ 미국 CIA 국장.
- ● 해기스, 폴 에드워드 Paul Edward Haggis 1953~ 미국 영화감독.
- ● 호프먼, 필립 시모어 Philip Seymour Hoffman 1967~ 미국 배우.
- [지 명]
- ● 힐즈데일 Hillsdale 미국 중북부, 미시간 주 남부의 도시. 인디애나, 오하이오 주의 접경에 위치. 인구 8,300명(2006). 차량 부품, 기구, 식료품, 의류 등 제조업이 발달. 상업 거래의 중심지. 넓이 250만㎡의 힐즈데일 대학의 소재지.[41°55′N, 84°38′W]
3. 국어 진흥 활동
3.1. 업무 협력 협약
3.1.1. 국립국어원·국립민속박물관 업무 협력 협약
국립국어원(원장 이상규)과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홍남)이 4월 18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업무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민속과 언어 분야 업무에 대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 체결식: 2006. 4. 18. (화) 11:00, 국립민속박물관 대회의실
◦ 참석자: 국립국어원, 국립민속박물관 관계자 및 기자단
◦ 주요 내용:
- 민속, 언어에 대한 사업 기획 시 공동 관심 사항 협의
- 민속, 언어에 대한 공동 조사
- 국립민속박물관 전시물 국어 표현 감수
- 실무협의회 구성 등
국립국어원과 국립민속박물관의 업무 협정식
 |
3.1.2. 국립국어원·EBS 교육방송 “언어문화 양극화 해소” 업무 협약
국립국어원(원장 이상규)과 한국교육방송공사(EBS)(사장 권영만)가 국가적 현안인 양극화 현상의 해소에 함께 나선다. 두 기관은 ‘여성 결혼 이민자’와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어 교육 소외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할 언어문화 양극화 현상의 한 예로 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에 두 기관은 5월 11일(목) 오전 11시에 한국교육방송공사 본관에서 이러한 내용을 비롯한 포괄적인 협력 내용을 담아 협약한다.
국립국어원과 EBS 교육방송의 업무 협정식
 |
◦ 때, 곳: 2006년 5월 11일(목) 오전 11:00, 한국교육방송공사 본관
◦ 협약 내용:
- 여성 결혼 이민자와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우리말 받아쓰기 대회 공동 개최
- 한국교육방송(EBS)이 제작한 국어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활용 가치 증진
- 직원 연수 및 세미나 공동 개최 등
3.1.3. 국립국어원 교육인적자원부 업무 협정 체결
국립국어원(원장 이상규)과 교육인적자원부(부총리 김진표, 학교정책실장 황남택)는 2006년 5월 18일(목) 오전 11시 교육부 대회의실에서 교과서 표기·표현 감수제 도입을 위한 업무 협정을 체결하였다.
국립국어원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업무 협정 체결식
 |
◦ 주요 내용
- 교과서의 표기·표현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전문 감수제 도입·추진(새 교육 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준비되는 2008년 이후부터 연차적으로 국립국어원이 교과서 표기·표현 감수 시작).
- 교과서와 표준국어대사전 간 표기 방식의 차이(띄어쓰기, 사이시옷 등)를 단일화
- 교과서의 표기·표현은 국립국어원의 ꡔ표준국어대사전ꡕ을 근간으로 하기로 함.
-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국립국어원과 교육인적자원부가 협조 체제를 구축함
◦ 기대 효과
- 수준 높은 교과서 개발 및 문장의 본보기로서 교과서의 권위를 회복하여 국민의 올바른 국어 생활에 기여함.
- 띄어쓰기·사이시옷 등의 혼란, 부자연스러운 어휘 선택, 문법 위배, 비논리적 문장 등 교과서 표기·표현과 관련한 논란의 소지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임.
- 교육용 어휘 조사, 학생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등 교육인적자원부와의 공동 사업 추진 기반을 구축함.
3.1.4. 엠파스, 국립국어원의 순화 용어 검색 서비스 시작
국립국어원은 국어순화용어집을 (주)엠파스에 제공하여 2006년 4월 13일부터 엠파스 검색창에서 국민들이 순화 용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엠파스(http://www.empas.com)의 검색창에서 ‘몸뻬, 시다바리’ 등 다듬을 말을 검색하면 ‘일 바지, 밑일꾼’ 등의 다듬은 말이 맨 위에 검색 결과로 나타난다.
이번 서비스는 국민들의 다듬은 말에 대한 갈증과 궁금증을 풀어 주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립국어원과 (주)엠파스는 국어사전 등 국립국어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각종 우리말 관련 정보를 엠파스를 통해 일반 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관해 협의 중이다.
3.2. 국어문화학교 운영
국어의 올바른 보급을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어문화학교에서는 원내 국어반과 찾아가는 국어 강좌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 원내 국어문화학교
- 기간과 기수: 2006년 제142기〜제147기(4월, 5월, 6월)
- 내용: 국어 20여 강좌
- 대상: 공무원, 출판인, 일반인
- 총 수강자 수: 660명
- ◦ 제142기 2006. 4. 10.〜4. 14.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19명
- ◦ 제143기 2005. 4. 17.〜4. 21.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19명
- ◦ 제144기 2005. 5. 15.〜5. 19.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22명
- ◦ 제145기 2005. 5. 22.〜5. 26.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06명
- ◦ 제146기 2005. 6. 12.〜6. 16.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105명
- ◦ 제147기 2005. 6. 19.〜6. 23.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5일간 35시간, 89명
◦ 찾아가는 국어 강좌 운영:
- 4월에 25회 1,182명, 5월에 17회 861명, 6월에 24회 1,247명, 총 66회 강좌를 열어 총 3,290명이 수강하였다.
3.3.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 사이트 운영
국립국어원은 함부로 쓰이는 외래어와 외국어를 걸러 내고, 우리말을 더 다듬어 가꾸기 위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우리말 다듬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운동은 2004년 7월 5일 “모두가 함께 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 사이트를 마련하여 운영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국립국어원이 다듬어 써야 할 외래어와 외국어를 매주 하나씩 선정하여 발표하면 일반 국민이 그 말을 대신할 우리말을 자유롭게 제안하여 결정하도록 하였다. 2006년 3월 초부터 6월 초 현재까지 이 사이트를 통하여 일반 국민이 직접 다듬은 말은 다음과 같다.
다듬을 말 |
뜻 |
다듬은 말 |
캡처
(capture) |
방송 장면이나 비디오 이미지를 손쉽게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따로 담아내는 일. |
장면 |
갈무리뉴타운
(new town) |
도시 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지방 자치 단체나 정부가
지정하여 재개발하는, 도시 속의 도시를 이르는 말. |
새누리촌 |
타임 서비스
(time service) |
정해진 시간에 한하여 값을 많이 깎아 주거나 덤을
많이 얹어 주는 판매 활동. |
반짝 할인 |
오픈 하우스
(open house) |
건설사나 건설업자가 본보기집(모델 하우스)이나 체험관
같은 곳을 만들어서 집을 사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들어와서 보거나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일. 또는 그런 경우. |
열린집/집열기 |
백댄서
(back dancer) |
가수가 노래를 부를 때 가수의 뒤편에서 함께 춤을
추며 공연하는 사람. |
보조춤꾼 |
치어리더
(cheerleader) |
운동 경기에서, 관중의 흥을 돋우기 위하여 흥겨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거나 응원 구호를 외치는 사람. |
흥돋움이 |
스카이라운지
(sky lounge) |
고층 건물의 맨 위층에 자리한 휴게실. |
하늘쉼터 |
바우처 제도
(voucher制度) |
주로 하위 계층의 소비자(수요자)에게 정부가 보증하는
증표나 서비스 이용권을 지급하여 어떤 특정한 재화
(상품)를 좀 더 싸고 편리하게 소비할 수 있게 하는 제도. |
복지상품권제도 |
프로슈머
(prosumer) |
주로 정보 통신 분야에서 생산 활동과 소비 활동을
같이하는 새로운 유형의 인간을 가리켜 이르는 말. |
참여형 소비자 |
디엠
(DM←Direct Mail) |
상품을 효과적으로 선전하기 위하여 편지나 광고 전단
따위의 인쇄물을 특정인들에게 우편으로 보내는 일.
또는 그런 인쇄물. |
우편광고(물) |
메세나
(Mécénat) |
특별한 대가를 바라지 않고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기업이나 개인. 또는 그러한 활동. |
문예 후원 |
스폿 광고
(spot廣告) |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사이에 나가는 광고. |
반짝 광고 |
슈터링
(shootering) |
슛인지 센터링인지 애매하게 골문 쪽을 향하여
공을 차는 일. |
골문 어림차기 |
3.4. 독립국가연합(CIS)지역 한국어교육실태 공동조사
◦ 조사 목적
- 한국어국외보급사업협의회의 한국어 교육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현지 실정(교원, 학생, 교재 등) 파악
- 각 부처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어 보급 사업의 효율적 운영 방안 모색
◦ 조사 개요
- 지역 : 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 카자흐스탄(알마티)
- 기간 : 2006. 5. 19.(금) 〜 5. 26.(금)
- 내용
◦ CIS지역의 한국어 보급 실태 및 한국어 교육 기관 실태 파악
◦ 현지 사례 조사 한국어 교육 정책 및 실태 파악
◦ 현지 대학교 한국어과 설치 현황 및 한인학교, 한글학교 실태 파악
◦ 국내 한국어 관련 기관의 지원 현황 등
- 참여 기관 :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재외동포재단, 한국어세계화재단 등
- 참여자: 정희원(국립국어원), 이병규(국립국어원), 허범무(문화관광부), 한광수(재외동포재단), 조선경(한국어세계화재단)
4. 국고 보조 사업 공모
국립국어원에서는 2006년도 국고 보조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8일까지 보조 사업자를 공모하였다. 별도의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접수된 사업 제안서를 2006. 5. 16.〜 5. 17.(2일간)에 심사하여 선정 공고하였다. 선정된 보조 사업자는 다음과 같다.
사업명 |
예산액 |
선정 사업자 |
비고 |
전문 용어 지원 시스템 개발 |
50,000천 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방송 언어 환경 개선 |
30,000천 원 |
한글문화연대 |
|
신문 언어 환경 개선 |
30,000천 원 |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
|
국어 능력 검정 시행 |
90,000천 원 |
한국방송공사, 한국언어문화연구원 |
|
한글 점자 3종 약자 개발 |
35,000천 원 |
한국점자연구위원회 |
조건부 |
시각 장애 유아용 점자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
34,000천 원 |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디지털 |
|
한글박물관 구축 |
200,000천 원 |
한국어세계화재단 |
조건부 |
국제결혼 이주 여성 한국어 교육 |
150,000천 원 |
한국어세계화재단 |
|
한류 상품의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 |
250,000천 원 |
서강대학교 |
|
한글 고전 역주 및 조선 왕조 실록
인명 색인 편찬 |
63,000천 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
100대 한글 문화유산 역주 및 해설 |
90,000천 원 |
한국어세계화재단 |
|
5. 국립국어원 직원 인사
5.1. 2006년도 학예연구사 특별 채용 합격자 명단
이름 |
채용 분야 |
출신학교, 전공 |
박정아 |
한국어교육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 교육 전공 |
김덕호 |
방언학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방언학 전공 |
이현주 |
전산언어학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산언어학 전공 |
5.2. 직원 인사 현황
◦전보 발령:
성명 |
일자 |
근무처 이동 |
직급 |
박종숙 |
4. 20. |
국립국악원 민속국악원→기획관리과 |
행정사무관 |
박화섭 |
4. 20. |
문화부 혁신인사담당관실→기획관리과 |
행정사무관 |
이정호 |
4. 20. |
국립중앙도서관→국어정보화팀 |
전산주사보 |
김영신 |
4. 20. |
한국예술종합학교→국어정책팀 |
사무원 |
정인석 |
4. 20. |
국립국어원→국립전주박물관 |
행정사무관 |
이운동 |
4. 20. |
국립국어원→국립현대미술관 |
행정사무관 |
강길례 |
4. 20. |
국립국어원→한국예술종합학교 |
사무원 |
◦신규 발령
우미준 |
4. 19. |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
행정주사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