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국어 생활 논단 |
 |
|
어형 ‘쇠’[金, 鐵]’와 ‘새[鳥]’의 고형(古形) |
김영일∙계명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1.
이 글은 ‘쇠’(金, 鐵)와 ‘새’(鳥)의 고형(古形)을 문헌 자료와 지명 및 방언에 의존하여 밝혀 보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논의의 과정에서 ‘ㄹ’음의 반모음화, ‘ㄱ’음의 변화 등에 관한 예도 제시될 것이다.
2.
2.1. ‘쇠’[金, 鐵]의 고형
‘金, 鐵’을 뜻하는 어형에는 고대 국어 이래 두 가지 형태 즉 ‘솔’과 ‘쇠’가 존재해 왔는데 이제 이것들을 문헌 자료 및 지명에서 찾아 제시해 보기로 한다.
2.1.1. ‘솔’계 어형
ㄱ. |
金橋謂西川之橋俗訛呼云松橋也 (삼국유사 권 3, 阿道基羅) |
ㄴ. |
素那或云 金川 (삼국사기 권 47) |
ㄷ. |
錐 솔옷쵸 俗呼錐兒 (훈몽, 중:7) |
또 지명에서도 ‘솔’계 어형이 나타난다.
ㄹ. |
金谷里 [금곡, 쇠편, 금평, 솔편][마을] 경북-청송-청송-금곡리 |
ㅁ. |
솔모루[金盤][마을] 충북-괴산-증편-남하-금염실 동북쪽에 있는 마을 |
ㅂ. |
소내[金川][마을] 충북-진천-만승-금곡-금곡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
ㅅ. |
소일[마을] 경기-오산-금곡→금곡리 |
ㄱ의 金橋와 松橋를 두고 도수희(1999:157)에서는 다음과 같이 논한다:
- ‘松橋’는 ‘金橋’에 대한 訛呼가 아니라 동일한 다리 이름에 대한 이표기일 뿐이다…… 따라서 ‘松橋(솔다리)’는 오히려 ‘金橋(쇠다리)’보다 이른 보수형이라 추정된다.
ㄴ과 ㅂ에 나타나는 ‘素’와 ‘소’는 설단음(舌端音) ‘ㄴ’ 앞에서 ‘솔’의 어말음 ‘ㄹ’이 탈락한 형태이다. 또 ㅅ의 ‘소일’은 ‘솔실(金谷)>소실>*소>소일’의 단계를 거친 변화형이다.
2.1.2. ‘쇠’계 어형
ㄱ. |
金壤郡本高句麗休壤郡 (삼국사기 권 35) 休壤郡一云金惱 (삼국사기 권37) |
ㄴ. |
鐵曰歲 (계림유사) |
ㄷ. |
쇠잣 金城 (용가 7:7), 쇠재 鐵峴 (용가 1:50) |
ㄹ. |
金 쇠 금, 鐵 쇠 텰 (훈몽, 중:15) |
ㄱ의 金壤(또는 金惱) = 休壤에서 休를 석독자(釋讀字)로 보면 그 형태가 ‘쇠’와 유사해진다(休 쉴 휴(신증유합, 하:46)).
앞의 2. 1. 1-ㄱ, ㄴ과 2. 1. 2-ㄱ을 비교해 보면 고대 국어 시대의 신라 지역에서는 ‘솔’계 어형이, 고구려 지역에서는 ‘쇠’계 어형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현상은, ‘水’를 뜻하는 어형이 신라 지역에서는 ‘勿’로, 고구려 지역에서는 ‘買’로 나타나는 것과 동일 유형의 현상이다.
그렇다면 ‘솔’과 ‘쇠’의 어형상의 차이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우리말에는 일찍이 고대 국어 시기부터 ‘ㄹ’이 반모음(y)으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고 이 현상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는데 이제 그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
(1) |
徐羅伐~徐耶伐 |
(2) |
加羅~加耶 |
(3) |
阿羅加耶~阿耶加耶 |
(4) |
達句(火) > 大丘 (삼국사기 권 34) |
(5) |
巨露 (삼국사기 권 34) > 거유(鵝) |
(6) |
{ |
봄놀- : |
고기 묏부리에서 봄놀오(魚躍岫)(백련 4) |
봄뇌- : |
踴은 봄뇔씨오(월석 2:13-14) |
(7) |
{ |
헐리- : |
구챠히 헐리디 아니며(소해 2:10) |
헤리- : |
우으며 헤리 배(소해 5:108) |
(8) |
{ |
허러디- : |
시름 허러듀미 이 오 아미로다(두해-초 22:11) |
허여디- : |
븟디 아니며 허여디디 아니며(구방, 하:65) |
(9) |
{ |
이 : |
내 이 닐어 비러 오니(노번, 상:19) |
이 : |
내 이 닐너 비러 오니(노해, 상:17) |
(10) |
+ -아지→아지/야지 |
(11) |
방언에서 |
|
ㄱ. 눈이 멀다~눈이 메다
ㄴ. 돌창~되창
ㄷ. 하늘바람~하늬바람(이상 함북 방언)
ㄹ. 져근 (小便) >
소매(전주 지방)
ㅁ. 굴뚝~귀뚝(전라)
ㅅ. ~매(馬)(제주) |
‘金, 鐵’을 뜻하는 두 어형 ‘솔’과 ‘쇠’는 위의 (1)~(11)에 의해 솔>쇠로 변화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음운 변화의 관점에서 합리적이다. 즉 ‘솔’의 어말음 ‘ㄹ’이 반모음화하여 ‘쇠’로 변화한 것이다.
‘水’를 뜻하는 두 어형 ‘勿’과 ‘買’ 중에서 ‘買’는 쇠퇴하고(일부 방언에 믜>미의 형태로 남아 있기는 하다) ‘勿’이 중세 국어 ‘믈’을 거쳐 현대 국어에서 ‘물’로 변하여 존속하고 있는 데 반하여 ‘金, 鐵’을 뜻하는 어형은 ‘솔’계 어형이 쇠퇴하고 ‘쇠’계 어형이 살아 남았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金, 鐵’을 뜻하는 어형의 최고형(最古形)은 ‘솔’이고 이것의 어말음 변화형이 ‘쇠’인데 이 ‘쇠’가 현대 국어에 존속하고 있다고 하겠다.
2.2. ‘새(鳥)’의 고형(古形)
문헌과 방언에서 ‘鳥’를 뜻하는 어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ㄱ. 사이(평북 방언)
- ㄴ. 새
- ㄷ. 상이(제주 방언)
- ㄹ. 생이(제주 방언)
위 ㄱ~ㄹ의 어형 상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다음의 논의를 보기로 하자.
우리말에서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쟁이’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나타나는데 이들 하나하나를 제시해 보기로 한다.
- ㅁ. 꾀자기(꾀많은 사람)
- ㅂ. 겁재기(겁이 많은 사람)
- ㅅ. 노래자이, 춤자이, 칼자이
- ㅇ. 겁재(=겁장이, 제주 방언)
- ㅈ. 멋장이
- ㅊ. 환쟁이
위의 ㅁ~ㅊ에 나타나는 어형의 변화의 전후 관계를 알아보자.
먼저, 모음 사이에서 ‘ㄱ’이 탈락하는 예는 방언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 개감~개암(개암, 경기, 충청)
- 해거름~해어름(해거름, 경기)
- 새각시~새악시(새색시, 전남)
- 삐가리~삐아리(병아리, 전남, 경남)
- 사마구~사마우(사마귀, 경남)
- 깨고락지~깨오락지(개구리, 전남)
- 바구옷~바우옷(이끼, 전남)
- 파구~파우(파, 경북)
- 토구~토우(는개, 경남)
다음으로, ㄱ > ㅇ(또는 ㄱ~ㅇ)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욱(上) |
{ |
> 웋 > 우(> 위) |
> 웅[지붕(=집+웅)] |
- 메기~멩이 (갈매기, 제주)
- 돌새기~돌생이 (작은 돌, 제주)
- 바닥~바당(함북)
- 눈두덕~눈두덩(함북)
- 버데기~버뎅이(다리, 심마니말)
- 돌채기~돌챙이(도랑, 평북)
- 나부래기~나부랭이(평북)
- 구먹~구멍(전남)
- 지시락~지시랑(기스락, 전남)
- 바구~방우(바위, 경북)
이제 위의 ㅁ~ㅊ의 밑줄 친 어형들의 변화의 전후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
A. 자기 |
{ |
> 자이 > 재 |
> 재기 |
> 장이 > 쟁이 |
위 A의 어형 변화표를 근거로 하여 위의 ㄱ~ㄹ의 어형 변화의 선후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B. *사기 |
{ |
> 사이 > 새 |
> 상이 > 생이 |
‘鳥’를 뜻하는 고형(古形)은 ‘*사기’로 추정되는데 이 어형은 우리나라 문헌이나 방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일본어에서 ‘까치(鵲)’를 kasasagi(かささぎ)라고 한다.
“삼국지 위서 30(오환 선비 동이전)”에 보면 일본에는 본래 소, 말, 범, 표범, 양, 까치가 없었다고 한다(其地無牛馬虎豹羊鵲).
또 “日本書紀 卷二十二, 推古天皇”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 六年夏四月難波吉士磐金至自新羅而獻鵲二隻
위의 두 기록에 의하면 까치는 본래 일본에 없었는데 신라인이 이것을 일본에 가져간 것이다.
한편 “계림유사”의 鵲曰渴則寄를 진태하(1974)에서는 *ka-cɐ-ki로 읽고 있는데 여기의 -cɐ-ki는 일본어 kasasagi의 -sagi와 유사하다.
또 “日本書紀 卷一, 神代 上”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도 있다.
- 鷦鷯此云娑娑岐
娑娑岐의 -娑岐도 -sagi의 표기로 인정된다.
이 밖에 일본어에서 鷺를 sagi라 하는데 이 sagi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 sirasagi(しらさぎ, 白鷺)
- daisagi(だいさぎ, 大鷺)
- goisagi(ごいさぎ, 五位鷺)
- herasagi(へらさぎ, 篦鷺) 등.
일본어에서 鵲이나 鷦鷯를 뜻하는 말의 뒷부분에 붙는 -sagi와 鷺를 뜻하는 어형 sagi가 곧 위에서 재구한 우리말 ‘*사기’와 일치하는 어형으로 볼 수 있다.
위의 2. 2.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새(鳥)’의 고형(古形)은 ‘*사기’로 추정되는데 이 ‘*사기’는 일본어에서 새 명칭어에 보이는 sagi(さぎ)에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본어 sagi(さぎ)는 우리말 ‘새(鳥)’의 고형(古形)이다.
| 참고 문헌 |
- 김이협(1981), 『평북방언 사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 김태균(1986), 『함북방언 사전』, 경기대 출판국
- 도수희(1999), ‘『삼국유사』의 할주 지명에 관한 해석 문제들’, 『언어학』 제24호
- 제주도(1995), 『제주어 사전』
- 진태하(1974), 『『林類事』究』
-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1987-1993), 『한국 방언 자료집 Ⅰ~Ⅷ』
- 한글학회(1991), 『한국 땅이름 큰 사전(상)』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