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빅뱅 : 세상이 바뀐다
매체 환경의 변화와
표현의 문제
디지털 매체 시대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
정보 저장 방식의 변화에 따른
국어 생활의 변화
매체 변화 시대의
국어 정책 및 교육의 방향
이곳 이 사람
어원 탐구
우리 시의 향기
우리 소설 우리말
국어 생활 논단
고향 말을 찾아서
국어학의 이해
국어 산책
국어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국립국어원 소식
국립국어원 소식

1. 보고서 발간

      보고서 제목: 청소년 언어생활 실태 연구
      등록 번호: 2005-1-3(2005년 4월 발간)
      판형: 국배판(A4판, 229면)

  ‘청소년 언어생활 실태 연구’는 국립국어원이 올해부터 시작한 ‘국민의 언어 실태 조사 사업’의 첫 번째 실태 연구 보고서이다.
  서울 지역의 5개교, 대구 지역의 4개교 등 총 9개 고등학교의 2학년 학생 653명을 대상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언어생활과 어휘 사용, 어문 규범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여 지역별, 성별, 계열별 통계 수치를 밝히고 그 원인을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표본 수가 많지 않고 조사 대상 지역이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고등학생들의 언어생활의 단면과 어휘 사용, 어문 규범에 대한 태도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고서는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대학 도서관 등에 배포되었으며 보고서 원문이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의 공개 자료실에 올라 있다.
  올해 말에는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 미니홈피, 메신저 등 고등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문자 생활 자료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2. 주요 회의 개최 소식

2.1.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회의 개최

  정부ㆍ언론 외래어 심의를 위한 공동위원회 제62차 회의가 2005년 4월 26일에 열렸다. 이 회의에서 심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62차 정부ㆍ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결정안(2005. 4. 26.)
[일반 용어]
· 네오콘 neocon(=neoconservative) 신보수주의자.
· 디프 임팩트 Deep Impact 혜성 탐사선.
· 에인트호벤 Eindhoven 네덜란드 축구팀 이름.
· 호이겐스 Huygens 토성 위성 타이탄 탐사선.

[인 명]
· 구로다 하루히코 黑田東彦 1944∼ ADB 총재.
· 기옘, 실비 Sylvie Guillem 1965∼ 프랑스 출신의 발레리나.
· 나야 히로미 納谷廣美 1939∼ 일본 메이지(明治)대학 총장 겸 학장.
· 도밍고, 플라시도 Plácido Domingo 1941∼ 스페인 테너 가수.
· 드브로카, 필리프 Philippe de Broca 1933∼2004 프랑스 영화감독.
· 라이블리, 퍼넬러피 (마거릿) Penelope (Margaret) Lively 1933∼ 영국 소설가, 아동 문학가.
· 라이언스, 존 John Lyons 1932∼ 영국 언어학자.
· 라이스, 팀 Tim Rice 1944∼ 영국 작사가, 작가.
· 라이스데이비스, 맨디 Mandy Rice-Davies 1944∼영국 모델, 쇼걸.
· 라이츠, 데이나 Dana Reitz 1948∼ 미국 무용가, 안무가.
· 레 득 아인 Lê Ðưc Anh 1920∼ 베트남 정치가.
· 로이드 웨버, 앤드루 Andrew Lloyd Webber 1948∼ 영국 작곡가.
· 마돈나 Madonna 1958∼ 미국 팝 가수, 여배우.
· 마코바, 데임 얼리셔 Dame Alicia Markova 1910∼2004 영국 발레리나.
· 메이어, 골다 Golda Meir 1898∼1978 이스라엘 여성 정치가.
· 밴 앤덜, 제이 Jay Van Andel 1923∼2004 미국 암웨이 공동 창업자.
· 밴 앨런, 제임스 앨프리드 James (Alfred) Van Allen 1914∼ 미국 물리학자.
· 베네딕토 16세 Benedictus ⅩⅥ 본명 요제프 라칭거 Joseph Ratzinger 1927∼ 제265대 로마 교황.
· 베른하르트, 레오폴트 Bernhard Leopold 1911∼2004 네덜란드 왕자.
· 벨라스케스, 콘수엘로 Consuelo Velázquez 1924∼2005 멕시코 여성 작곡가, 피아니스트.
· 부치코프스키, 블라도 Vlado Bučkovski 1962∼ 마케도니아 총리
· 블란쳇, 케이트 Cate Blanchett 1969∼ 미국 여배우.
· 사이토 다카시 齋藤 隆 1948∼ 일본 해상막료장.
· 샤이보, 테리 Terri Schiavo 1963∼2005 미국 「존엄사」여인.
· 슈마허, 미하엘 Michael Schumacher 1968∼ 독일 F1(Formula One, 자동차 경주) 세계 챔피언.
· 스왱크, 힐러리 앤 Hilary Ann Swank 1974∼ 미국 여배우.
· 스코세이지, 마틴 Martin Scorsese 1942∼ 미국 영화감독.
· 스탤론, 실베스터 (엔치오) Sylvester (Enzio) Stallone 1946∼ 미국 영화배우, 감독.
· 시퍼, 토머스 Thomas Schieffer 1947∼ 미국 주일 대사.
· 아이스너, 윌 Will Eisner 1917∼2005 미국 만화가.
· 야치 쇼타로 谷內正太郞 1944∼ 일본 외무성 외무사무차관.
· 영, 앤드루 잭슨 Andrew Jackson Young, Jr. 1932∼ 미국 성직자.
· 와찌랄롱꼰, 마하 Maha Wajiralongkorn 1952∼ 타이 왕세자.
· 요시다 다다시 吉田 正 1948∼ 일본 항공막료장.
· 웅가로, 에마뉘엘 (마페올티) Emanuel (Maffeolti) Ungaro 1933∼ 프랑스 패션 디자이너.
· 웨스커, 아널드 Arnold Wesker 1932∼ 영국 극작가.
· 이스트우드, 클린트 Clint Eastwood 1930∼ 미국 영화배우, 감독.
· 잭슨, 앨폰소 Alphonso Jackson 1945∼ 미국 주택도시개발장관.
· 즈엉 찐 특 Dương Chin Thưc 1942∼ 베트남 주한 대사.
· 처토프, 마이클 Michael Chertoff 1954∼ 미국 국토안보장관.
· 치점, 셜리 (애니타 힐) Shirley (Anita St. Hill) Chisholm 1924∼2005 미국 정치가.
· 카슨, 자니 Johnny Carson 1925∼2005 미국 텔레비전 사회자, 코미디언.
· 캐플런, 로버트 Robert D. Kaplan ?∼ 미국 언론인.
· 코소르, 야드란카 Jadranka Kosor 1953∼ 크로아티아 부총리.
· 패프, 윌리엄 William Pfaff ?∼ 미국 언론인.
· 팰런, 윌리엄 William J. Fallon 1944∼ 미국 태평양군 사령관.
· 폭스, 제이미 Jamie Foxx 1967∼ 미국 영화 배우.
· 프리먼, 모건 Morgan Freeman 1937∼ 미국 영화 배우.
· 하비, 프랜시스 Francis J. Harvey 1944∼ 미국 육군 장관.
· 하시모토 겐이치 橋本元一 1943∼ 일본 NHK 회장.
· 행크스, 톰 Tom Hanks 1956∼ 미국 영화배우, 감독.
· 허버드, 앨런 Allan Hubbard 1948∼ 미국 대통령 보좌관(경제 담당). 국가경제회의(NEC) 의장.
· 휴스, 하워드 Howard Hughes 1905∼76 미국 실업가, 비행가, 영화 제작자.

제2기 부시 정권 각료
[원수] 2001년 1월 20일 취임, 2005년 1월 20일 재임.
· 대통령 조지 부시 George W. Bush
· 부통령 딕 체니 Dick Cheney
[내각] 2005년 1월 발족.
· 국무/ 콘돌리자 라이스 Condoleezza Rice
· 재무/ 존 스노 John Snow
· 국방/ 도널드 럼즈펠드 Donald Rumsfeld
· 법무/ 앨버토 곤잘러스 Alberto Gonzales
· 내무/ 게일 노턴 Gale Norton
· 농무/ 마이크 조핸스 Mike Johanns
· 국토안전보장/ 마이클 처토프 Michael Chertoff
· 상무/ 칼로스 구티에레즈 Carlos Gutierrez
· 노동/ 일레인 차오 Elaine Chao
· 보건/ 마이클 레빗 Michael Leavitt
· 주택도시개발/ 앨폰소 잭슨 Alphonso Jackson
· 교통/ 노먼 미네타 Norman Mineta
· 에너지/ 새뮤얼 보드먼 Samuel Bodman
· 교육/ 마거릿 스펠링스 Margaret Spellings
· 재향군인/ 짐 니컬슨 Jim Nicholson
· 국가정보/ 존 네그로폰테 John Negroponte

2.2. 국어심의회 국어정보화분과위원회 개최

  국어심의회 정보화분과위원회(위원장: 홍윤표 연세대 교수)는 아래와 같이 두 차례의 회의를 개최하여 현안을 논의하였다.

(1) 2005년도 제1차 국어심의회(국어정보화분과)
∙ 일시: 2005년 3월 5일 토요일 11시∼14시
∙ 장소: 국립국어원 202호 회의실
∙ 참석자: 홍윤표(위원장, 연세대), 박동인(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신효필(서울대), 윤애선(부산대), 이해영(이화여대), 이희자(경인교대), 변정용(동국대)(이상 국어심의회 국어정보화분과위원), 김세중(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장), 이승재, 김한샘(이상 국립국어원 직원)
∙ 안건:
- 21세기 세종 계획 사업 계획에 대한 논의
- 국어심의회(국어정보화분과)의 심의 내용
- 국어 정보화 중장기 계획의 수립
- 결과물 평가 체계의 보완책
- 한국과학기술정보원과 국립국어원의 협력 문제

(2) 2005년도 제2차 국어심의회(국어정보화분과)
∙일시: 2005 4월 2일 10시~12시 30분
∙장소: 국립국어원 202호 회의실
∙참석자: 홍윤표(위원장), 변정용(동국대), 신효필(서울대), 윤애선(부산대), 이해영(이화여대), 최기선(한국과학기술원)(이상 국어심의회 국어정보화분과위원), 김세중(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장), 이승재, 김한샘(이상 국립국어원 직원)
∙안건:
- 말뭉치 관리 기구의 필요성
- 국립국어원 국어 정보화 사업 계획 논의
- 국어 정보화 중장기 사업 계획 논의
- 국어 기본법 시행령 검토

2.3. 국립국어원 월례 발표회

(1) 언어 정책 집중 토론회 제3회 개최
∙ 발표자: 김하수(국립국어원 언어정책부장)
∙ 일시: 2005. 4. 2.(토) 10:00∼12:00
∙ 주제: 언어 발전과 언어 정책
∙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회의실
 
(2) 언어 정책 집중 토론회 제4회 개최
∙ 발표자: 이준석(국립국어원 국어진흥부),
조남호(국립국어원 언어정책부)
∙ 일시: 2005. 4. 27.(수) 16:00∼18:00
∙ 주제: 문자 사용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이준석), 국어 자원 관리 방안(조남호)
∙ 장소: 국립국어원 중1층 회의실
 
(3) 언어 정책 집중 토론회 제5회 개최
∙ 발표자: 최미숙(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 일시: 2005. 5. 20.(금) 16:00∼18:00
∙ 주제: 성인의 국어 능력 평가 방안
∙ 장소: 국립국어원 2층 회의실

2.4. 국어상담소 운영을 위한 공개 토론회 개최

  2005년 6월 2일 (목요일) 오후 2시~6시에 서울역사박물관 강당(경희궁 안)에서 한글학회가 주최하고 국립국어원이 후원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김계곤 한글학회 회장과 남기심 국립국어원 원장의 인사말과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의 축사로 시작했다. 토론회의 소주제, 발표자, 토론자 등은 다음과 같다.
제1부 사회: 김하수(국립국어원 언어정책부장)
기조 발표: 국어상담소 제도의 목적과 의의

······

김세중(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장)
주제 발표:
(1) 외국의 문장 상담소 현황
······ 서홍원(연세대 영문과 교수),
김준환(이화여대 국문과 교수)
(2) 학생 대상의 국어 상담 현황과 제언
······ 최시한(숙명여대 국문과 교수)
(3) 일반인 대상의 국어 상담 현황과 제언
······ 남영신(국어문화운동본부 대표)
제2부 사회: 권재일(서울대 교수)
지정 토론자:
(1) 송기형(건국대 불문과 교수)
(2) 최동주(영남대 국문과 교수),
김두루한(서울 광양고등학교 교사)
(3) 김태환(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 교실 선임연구원),
안상순(금성출판사 부장)



3. 국어 진흥 활동

3.1. 국립국어원, 문화방송(MBC)과 방송 화법 공동 연구 협약 체결

왼쪽: 최문순 문화방송 사장, 오른쪽: 남기심 국립국어원장

  국립국어원과 문화방송은 방송 언어의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하고 업무 협약을 4월 12일 체결하였다. 두 기관은 방송 언어의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를 3년간 진행하기로 하였으며 첫 번째 연구 과제로 보도 분야의 방송 화법을 선정하였다. 두 기관은 5월부터 분야별 연구를 진행하여 최종 연구 결과를 10월 초에 개최되는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3.2.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사이트 운영

  국립국어원은 함부로 쓰이는 외래어와 외국어를 걸러 내고, 우리말을 더 다듬어 가꾸기 위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우리말 다듬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운동은 2004년 7월 5일부터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 사이트를 마련하여 운영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국립국어원이 다듬어 써야 할 외래어와 외국어를 매주 하나씩 선정하여 발표하면 일반 국민이 그 말을 대신할 우리말을 자유롭게 제안하여 결정하도록 하였다.
  2005년 4월 초부터 6월 초 현재까지 이 사이트를 통하여 일반 국민이 직접 다듬은 말은 다음과 같다.

다듬을 말 다듬은 말
헝그리 정신
(hungry精神)
 끼니를 잇지 못할 만큼 어려운 상황에서도 꿋꿋한 의지로 역경을 헤쳐 나가는 정신. 맨주먹정신
투잡
(two job)
 한 사람이 두 가지 직업을 갖는 일. 겹벌이
브랜드 파워
(brand power)
 기업체의 상표가 가지는 힘. 상표경쟁력
엑스파일
(X file)
 아직 결정하거나 해결하지 아니한 사건에 관한 문서나 서류. 안개문서
-게이트
(-gate)
 정치가ㆍ정부 관리와 관련된, 비리 의혹에 싸여 있는 사건. 의혹사건
메신저
(messenger)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문자와 자료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쪽지창
소호
(SOHO)
 특별한 사무실 없이 자신의 집을 사무실로 쓰는 소규모 자영업. 무점포사업
오프라인
(off-line)
 인터넷과 같은 가상공간이 아닌 실재하는 공간. 또는 사람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현실의 세계. 현실공간
옴부즈맨
(ombudsman)
 어떤 기관에 대하여 일반 국민이 갖는 불평이나 불만을 처리하는 사람. 민원도우미
터프가이
(tough guy)
 박력이 있거나 완력이 센 남자. 쾌남아


3.3.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 운영

  국립국어원이 2005년 4월∼6월 동안 일반 국민을 상대로 국어문화학교를 운영한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원내 국어문화학교

  원내 국어문화학교 국어반 강좌는 2005년 4월~6월에 공무원, 출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가 각각 2회씩 실시되어, 총 675명이 수강하였다.
  4월부터 6월 사이에 원내 국어문화학교가 열린 시기와 수강 인원은 다음과 같다(기(期)마다 5일간 총 35시간의 교육 과정임).
제124기 2005. 4. 11. ~ 4. 15.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133명
제125기 2005. 4. 18. ~ 4. 22.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121명
제126기 2005. 5. 9. ~ 5. 13.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106명
제127기 2005. 5. 16. ~ 5. 20.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116명
제128기 2005. 6. 13. ~ 6. 17.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107명
제129기 2005. 6. 20. ~ 6. 24. 공무원·출판인·일반인반, 92명

       (2)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는 4월에 15회 1026명, 5월에 20회 1855명, 6월에 21회 1689명, 총 56회 강좌를 열어 총 인원 4570명이 수강하였다.


3.4. 한국어 전문가 파견

       (1) 태국

- 일시: 2005. 5. 17. ∼ 5. 22.
- 장소: 태국 촌부리 소재 부라파 대학교 세미나 실
- 파견자: 허용(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김선정(계명대학교 교수), 정호성(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 강의 내용: 한국어 어문 규범, 한국어 발음 교육법, 한국어 어휘 교육법, 한국어 유형론, 한국어 문장의 구성, 한국어 조사 교육법, 한국어 어미 교육법 등.
- 수강자 
   및 인원:
태국 내 한국어 교원 16명 (한국인 12명, 태국인 4명)

       (2) 베트남

- 일시: 2005. 5. 23. ∼5. 29.
- 장소: 베트남 호찌민 시 소재 한국학교 강당
- 파견자: 이해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이지영(상명대학교 교수), 정호성(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 강의 내용: 한국어 어문 규범, 한국어 표현 교육 지도법, 한국어 이해 교육 지도법,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평가 방법론, 한국어 어휘 교육법, 한국어 교재론 등.
- 수강 인원: 베트남 내 한국어 교원 40여 명
(한국인 25명, 베트남인 15명)

3.5. 동남아 한국어 교육 현황 파악을 위한 공무 출장

(1) 출장 목적
  한국어 학습과 한류의 열기가 높은 태국 및 베트남 지역의 한국어 강좌 개설 대학 및 기관을 방문하여 한국어 교육 및 한류 실태를 파악하고, 현지 한국어 교육의 구체적·실질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함.
(2) 출장 기간: 2005. 6. 12.〜6. 19.
(3) 출장 지역: 태국 및 베트남
(4) 출장자
  - 남기심 국립국어원장
  - 김하수 국립국어원 언어정책부장
  - 이형호 문화관광부 국어민족문화과장
  - 정호성 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 학예연구관
(5) 활동 내용
 ㈎ 한국어 교육 관련 기관 방문
태국 내 한국어 관련 학과 설치 대학(실라빠껀 대학, 부라파 대학), 태국 노동부 운영 직업학교 등을 방문하여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현황 파악,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 방안 논의, 지원 요청 사항 등 파악.
베트남 내 한국어 관련 학과 설치 대학(호찌민 인문사회대, 호찌민 외국어정보대학교), 대학 부설 어학센터(호찌민 인사대), 호찌민 한국학교 등을 방문하여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 방안, 지원 요청 사항 등 파악.
 ㈏ 현지 공관 방문
재태국 대한민국 대사관 소속 한국문화센터를 방문하여 태국 전역의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중심 역할 모색.
베트남 호찌민 총영사와 면담하여 한국어 교육 및 한류 현황 파악.

4. 기관 상징 도안 변경

4.1. 추진 배경 및 목적

  2004년 11월 11일 대통령령에 따른 직제 개편으로 ‘국립국어연구원’에서 ‘국립국어원’으로 기관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정책 기능 강화 등 변화된 업무 환경에 걸맞은 국립국어원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국어원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상징 도안(CI) 개발이 필요하였다.
  국립국어원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체계화하여 대외적으로는 홍보 이미지를 개선하고, 대내적으로는 구성원의 일체감과 소속감 형성하는 데에 상징 도안 변경의 목적이 있다.


4.2. 추진 현황

- 2004. 11. 국립국어원 직제 개편
- 2004. 12. 국립국어원의 상징 도안 개발 검토
- 2005. 2. 원내 추진단 구성 및 디자인 업체 선정
- 2005. 3. 디자인 시안 결정 및 최종 납품
- 2005. 4. 응용형 제작(홍보탑, 서식류 등)



4.3. 국립국어원 상징 도안 설명

  ‘언어는 소통과 문화의 중심’이라는 이념 아래 새로 만들어진 국립국어원의 상징 도안은 다양한 가치를 지닌 문화적 요소들이 한데 어울려 언어문화를 이루는 관계를 상징한다. 즉, 큰 사각형을 이루는 다양한 길이와 방향, 색채와 조형 요소는 ‘국어’라는 문자를 은근하게 형성하여, 하나의 문화권 속에서 다양한 가치를 지닌 요소들이 상호 조화를 이루어 언어문화를 창조해 나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통 조각보에서 철학적ㆍ조형적 영감을 얻어 파생된 여러 개의 사각 형태는 디지털 시대의 상징물로 연계되어 전통문화와 미래 문화를 연계하는 국립국어원의 구실을 상징하고 있다.


5. 559돌 한글날 행사 주제와 경축 표어 공모

  훈민정음 반포 559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기리고,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국내외에 선양하며, ‘우리말 사랑ㆍ나라 사랑’ 운동에 국민이 관심을 갖고 참여하게 하고자 ‘한글날 행사 주제와 경축 표어’를 다음과 같이 공모하오니 많이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공모 기간: 2005. 7. 1.(금) ~ 7. 30.(토)
□ 공모 대상: 일반인이면 누구나 참가 가능.
□ 행사 주제와 경축 표어 내용
-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글과 우리말에 대한 자긍심 표현.
- 무분별한 외국어ㆍ외래어ㆍ통신 언어의 사용에 대한 올바른 우리말 사용 권장.
- 한류 열풍과 한국어의 국외 보급으로 외연을 넓혀 가는 한글과 한국어의 적극적 이미지 표현.
- 「우리말 사랑ㆍ나라 사랑」에 관한 어떠한 내용도 무방함.

□ 작성 형식
<행사 주제 부문>
- 광복 60주년, 한국어의 국외 보급, 우리말과 한글의 훼손 등 최근 우리말과 한글을 둘러싼 환경 변화 및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것.
- 작성 예
ㆍ국어의 세계화, 정보화(2002년 주제)
ㆍ우리 말글의 위기(2003년 주제)
ㆍ한글의 힘(2004년 주제)
 
<경축 표어 부문>
- 마음에 새롭게 와 닿을 수 있는 ‘우리말 사랑’에 대한 애틋한 감정의 표현
- 텔레비전ㆍ전광판 등에서 볼 수 있는 깜찍한 광고 문구와 같은 표현
- 일상적인 표어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표현
- 작성 예
ㆍ함께 가꾼 바른 한글 함께 누릴 밝은 미래
ㆍ사랑하는 우리 한글 꽃피우자 정보 문화
ㆍ소리대로! 생각대로! 사랑해요! 우리 한글
ㆍ너와 내가 가꾼 한글 세계 속의 으뜸 문화
ㆍ한글이 좋다! 한국이 좋다!(2003, 2004년 표어)

□ 당선작 선정 방법과 시상 내용
- 당선작 선정 방법
국립국어원의 1차 예비 심사를 거쳐 국립국어원이 위촉한 심사위원단에서 최종 선정
- 시상 내용

최우수 각 1편: 문화상품권(20만원 상당)
우수 각 2편: 문화상품권(10만원 상당)
※ 당선작의 저작권은 국립국어원이 소유함.
□ 당선작 활용 계획
- 선정된 행사 주제는 559돌 한글날 기념식과 각종 부대 행사를 기획할 때에 적극적으로 반영함.
- 선정된 경축 표어도 광화문 세종로와 기념식장, 홍보탑, 대형 현수막, 주요 도시 대형 전광판과 현수막, 각종 홍보 안내 책자 등의 홍보 문안으로 활용하거나 홈페이지, 기안문 서식에 활용함.
□ 당선작 발표
- 문화관광부 게시판 및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발표(8월 초 예정)
 ※ 응모 요령
○ 참가 대상: 국민 누구나 응모하실 수 있음.
○ 공모 기간: 2005. 7. 1.(금) ~ 7. 30.(토)
○ 응모자는 성명, 전자 우편을 반드시 기재하셔야 함.
○ 응모 내용은 전자 우편 [email protected]로만 접수함.
○ 문의처: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 김유선(전화 02-2669-9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