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발음 이야기 |
|
모음 'ㅢ'는 어떻게 읽을까요? |
이운영(李云暎) / 국립국어원 |
|
우리말의 모음은 읽는 법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 원칙적으로는 표기와 동일하게 읽는 것이 옳다. 그런데 일부 모음은 발음을 좀 더 편하게 하기 위해서 표기와 다르게 읽도록 한 것도 있다. ‘계’의 경우에 이를 표기 그대로 [계]로 읽는 것 외에 [게]로 읽는 것도 허용한 것이 그러한 경우이다. 또 어떤 모음은 환경에 따라 발음을 다르게 해야 하기도 하는데, 모음 ‘ㅢ’가 바로 그러하다.
우리말 모음 중에서 모음 ‘ㅢ’만큼 다양하게 읽히는 것도 없는 듯하다. ‘ㅢ’는 기본적으로 표기 그대로 [의]라고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 따라 [의] 외에 [에]로 읽을 때도 있고 [이]로 읽을 때도 있다. 또 [의]나 [에] 어느 쪽으로 읽어도 되는 경우도 있다.
먼저 모음 ‘ㅢ’는 다음과 같이 단어의 첫 음절에서 모음 그대로 ‘의’로 나타날 때에는 표기와 동일하게 [의]로 읽는다.
- (1) 의논, 의사, 의원, 의자, 의회
(1)과 같은 단어를 발음할 때 일부 사람들이 ‘의’를 [으]나 [이]로 발음하여 [으사], [으자], [이사], [이자] 등과 같이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발음이다.
다음으로 ‘ㅢ’가 단어의 두 번째 이하 음절에서 ‘의’로 나타날 때에는 [의]로 읽어도 되고 [이]로 읽어도 된다.
-
(2) |
ㄱ. 결의[겨릐/겨리], 문의[무:늬/무:니], 상의[상의/상이] |
|
ㄴ. 강의료[강:의료/강:이료], 탈의실[타릐실/타리실] |
|
ㄷ. 주치의[주치의/주치이], 천주실의[천주시릐/천주시리] |
(2ㄱ)에서 ‘결의’는 먼저 [결의]나 [결이]가 되고 다시 연음 법칙에 따라 [겨릐] 또는 [겨리]로 발음이 난다. ‘문의’도 마찬가지이다. ‘상의’는 표기 그대로 [상의]로 발음할 수도 있고 두 번째 음절의 [의]를 [이]로 발음하여 [상이]로 발음할 수도 있다. (2ㄴ)에 제시한 단어들은 전체가 세 음절로 이루어진 것 중에서 가운데에 ‘의’가 들어간 단어이다. 이때에도 (2ㄱ)의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가운데 음절의 ‘의’는 [의]나 [이] 모두로 발음할 수 있다. (2ㄷ)에 제시한 단어들과 같이 세 번째 이하 음절에 ‘의’가 올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세 번째로 ‘ㅢ’가 자음과 결합하여 ‘희’, ‘늬’ 등으로 나타날 때에는 어느 자리에 오느냐와 상관없이 항상 [이]로 발음된다. 다음은 모음 ‘ㅢ’가 자음과 결합한 음절이 포함된 단어들이다.
- (1) (3) 늴니리[닐리리], 희망[히망], 띄다[띠:다], 무늬[무니]
위의 단어에 쓰인 ‘늴’, ‘희’, ‘띄’, ‘늬’는 첫 음절에 왔든 두 번째 음절에 왔든 관계없이 항상 [닐], [히], [띠], [니]로 발음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단어 속에 들어 있는 모음 ‘ㅢ’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런데 소유를 나타내는 격 조사 ‘의’는 이와는 또 다르게 발음이 된다. 격조사 ‘의’는 다음과 같이 [의]로 읽어도 되고 [에]로 읽어도 된다.
-
(4) |
ㄱ. 나의[나의/나에] 가방 |
|
ㄴ. 경수의[경수의/경수에] 책상 |
조사 ‘의’의 경우에는 [의]나 [에] 어느 쪽으로 발음해도 괜찮지만 [예]로 읽는 것은 옳지 않다. 예를 들어 (4ㄱ)에 제시한 ‘나의’를 발음하는 것을 들어보면 [나예]로 소리 내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지금까지 단어 속에 나타난 모음 ‘ㅢ’와 격 조사 ‘의’의 발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민주주의의 승리’에 나오는 ‘민주주의의’를 발음해 보면 다음과 같이 네 가지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 (1) (5) [민주주의의]/[민주주이의]/[민주주의에]/[민주주이에]
‘민주주의’의 ‘의’는 단어의 두 번째 음절 이하에 나오는 ‘의’로 [의]와 [이]로 발음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맨 끝에 나오는 ‘의’는 격 조사이기 때문에 [의]와 [에] 두 가지로 발음할 수 있다. 따라서 ‘민주주의의’를 읽을 때에는 네 가지로 달리 발음할 수가 있다.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