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하다못해 재덕이 겸전한 ‘되모시’를 내자로 들여앉히신다 하여도 태생이
무라지 백정의 소생인 저와 같은 대물림 씨종과는 하늘과 땅 사이 아닙니까?”(김주영의 ‘객주’)에서
‘되모시’의 뜻은?
① 남편과 사별하고 혼자 사는 과부
② 이혼하고 처녀 행세를 하는 여자
③ 행실이 얌전한 양반집 처녀 아이
④ 하녀 가운데 총명하고 영리한 여자 아이
- “어디를 얼마나 돌아다녔는지 ‘미투리’ 앞부리가 수세미가 되어 있고,
상투 자른 머리칼 위에는 황토 먼지가 누렇게 쌓여 있었다.”(유현종의 ‘들불’에서)에서
‘미투리’의 뜻은?
① 한복의 좌우의 더펄거리는 옷자락
②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③ 간단한 물건 따위를 넣은 괴나리봇짐
④ 길 떠날 때 신는 허름한 버선
- “계봉이는 그 이상 깊이 들어가서 완전히 설명할 자신이 없어 이내 ‘동곳을 빼고
만다’.”(채만식의 ‘탁류’)에서 ‘동곳을 빼고 만다’는 무슨 뜻인가?
① 실제로 상투에 있는 동곳을 뽑다.
② 어떤 일에 나약하고 소극적이다.
③ 힘이 모자라서 굴복하거나 복종하다.
④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아첨하다.
- 다음에서 ‘길미’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길미는 매달 그믐달 갚기로 하세.
② 그 길미는 채무자에게는 너무 지나치네.
③ 어떻게 처신해야 내게 길미가 돌아오는가?
④ 길미를 그렇게 함부로 쓰면 안 되네.
- 다음에서 ‘운김’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마을 사람들은 서로서로 운김에 쌓여 모를 척척 심었다.
② 사람의 운김과 술기운으로 실상은 선선치도 않은 데다가….
③ 한 집안의 운수와 운김은 이미 정해진 바라….
④ 어쩐지 집안의 운김은 전과 같지 않고 쓸쓸하였다.
- 다음에서 ‘에누리’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남을 낮추어 보는 일
② 물건 값을 깎는 일
③ 물건 값을 받을 값보다 더 많이 부르는 일
④ 실제보다 더 보태거나 깎아서 말하는 일
- 다음에서 ‘추스르다’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치켜 올려 다루다.
② 몸을 가누어 움직이다.
③ 일 따위를 수습하여 처리하다.
④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대하여 칭찬하다.
※ 정답 긁어 주세요.
1.-②, 2.-②, 3.-③, 4.-④, 5.-③, 6.-①, 7.-④. |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