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다음에서 ‘골걷이’의 뜻은?
① 밭고랑의 잡풀을 뽑아 없애는 일
② 곡식을 고랑 단위로 거두어들이는 일
③ 논이나 밭 등의 고랑이 깊게 파인 곳
④ 높은 산 아래의 길고 깊숙한 골짜기
- “이번에는 ‘날찍’이 톡톡하대요.”에서 ‘날찍’의 뜻은?
① 하루의 품삯
② 일한 결과로 생기는 이익
③ 일을 이루는 데 드는 비용
④ 노동자의 하루 분량의 노동의 양
- “범도 새끼 둔 곳에 두남둔다.”는 속담의 뜻은?
① 짐승도 제 새끼는 아낀다.
② 호랑이도 의지할 장소가 있다.
③ 특별히 애착이 가는 곳이 있다.
④ 누구나 개인 사정이 없을 수 없다.
- “그는 늘그막에 낳은 막둥이에게도 ‘만수받이’ 한 번 하지 않는다.”에서 ‘만수받이’의 뜻은?
① 어린애를 안고 어르는 일
② 특별히 애지중지 하는 일
③ 귀찮은 말이나 행동을 잘 받아 주는 일
④ 우는 애를 달래어 울음을 그치게 하는 일
- 다음에서 ‘산따다기’의 뜻은?
① 산 속에서 주로 사는 사람
② 물건이 다닥다닥 붙은 모양
③ 겉이 붉고 질이 떨어지는 쌀
④ 산들산들 시원하게 부는 바람
- 다음에서 ‘아습’의 뜻은?
① 손댈 필요 없도록 깨끗하게 쓿은 쌀
② 주로 고기를 얻기 위해서 거세한 소
③ 떡 칠 때 쓰는 두껍고 넓은 나무 판
④ 소나 말의 나이가 아홉 살인 것을 이르는 말
- 다음에서 ‘태가다’의 뜻은?
① 수레 등에 태워 가지고 가다.
② 질그릇이나 놋그릇에 금이 가다.
③ 공간적으로 상당한 거리를 떨어져 있다.
④ 살림살이가 가정 형편이 점점 어려워지다.
※ 정답 긁어 주세요.
1.-①, 2.-②, 3.-④, 4.-③, 5.-③, 6.-④, 7.-② |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