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그 사람은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발쇠’나 일삼는 사람이라 믿을 수 없다.”에서 ‘발쇠’의 뜻은?
① 돌아다니면서 남의 약점을 흉보는 것.
② 자기 것은 쓰지 않고 남에게 얻어먹는 일.
③ 별로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며 놀고먹는 일.
④ 남의 비밀을 캐내어 다른 사람에게 넌지시 알려 주는 짓.
- “모든 신하들은 풀덤불 속에서 ‘한둔’을 하는데….”(박종화의 ‘임진왜란’)에서 ‘한둔’의 뜻은?
① 한데에서 밤을 지새움.
② 잠시 휴식을 취함.
③ 둘러 앉아 식사를 함.
④ 중대사를 의논함.
- 다음에서 ‘어름’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눈두덩이와 광대뼈 어름에 시커먼 멍이 들었다.
② 한길에서 공장 신축장으로 들어가는 어름에 포장마차가 있다.
③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어름에 영산홍이 활짝 피었다.
④ 온통 수릿재 어름이 먼지에 뽀얗게 휩싸이고 있었다.
- 다음에서 ‘졸가리’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겨울이 되니, 잎이 무성한 나무들이 졸가리만 앙상하게 드러내고 있다.
② 누구나 장수된 자는 그가 거느린 졸가리들을 잘 다스려야 하지.
③ 당신, 말버릇부터 따져야 할 일이나, 바쁘니 우선 졸가리부터 물어 봅시다.
④ 그가 사람 하나는 반듯하단 말이오. 암, 그래도 졸가리 있는 집 자손이니까.
- 다음에서 ‘강파르다’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몸이 야위고 파리하다.
② 성질이 까다롭고 괴팍하다.
③ 인정이 메마르고 야박하다.
④ 가난하여 살기가 매우 어렵다.
- 다음에서 ‘수굿하다’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약간 어리석은 듯하다.
② 꽤 다소곳하다.
③ 고개를 조금 숙인 듯하다.
④ 흥분이 꽤 가라앉은 듯하다.
- 다음에서 ‘안찝’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송장을 넣는 널.
② 가구의 내부 구조.
③ 소나 돼지의 내장.
④ 옷 안에 바치는 감.
※ 정답 긁어 주세요.
1.-④, 2.-①, 3.-③, 4.-②, 5.-④, 6.-①, 7.-②. |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