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잇다홍 무명 적삼에 ‘갈매’ 무명 치마를 입었는데 매무새까지도 얌전하다.”(홍명희의 ‘임꺽정’)에서 ‘갈매’는 무슨 색인가?
① 짙은 초록색
② 짙은 노랑색
③ 짙은 파랑색
④ 짙은 보라색
- “‘눈자라기’를 등에 업고 밥함지를 이고 가는 바쁜 농촌의 아낙네”에서 ‘눈자라기’의 뜻은?
① 몸이 불편하여 누워서 지내는 어린아이
② 보기에 아주 어려 보이는 젖먹이 아이
③ 아직 꼿꼿이 앉지 못하는 어린아이
④ 아직 마음대로 걷지 못하는 어린아이
- “‘마기말로’ 내가 그런 일을 당했다면 가만있지 않았을 거야.”(윤홍길의 ‘완장’)에서 ‘마기말’의 뜻은?
① 실제보다 과장되게 하는 말
② 실제라고 가정하고 하는 말
③ 하지 않아도 될 것을 굳이 하는 말
④ 한 마디로 단정 지어 하는 결정적인 말
- 다음에서 ‘방자고기’의 뜻풀이로 맞는 것은?
① 아주 덩지가 큰 물고기
② 아주 맛이 좋고 부드러운 특정 부위 고기
③ 여러 종류의 물고기가 마구 섞인 잡고기
④ 씻지도 않고 양념 없이 소금만 뿌려 구운 고기
- “내가 하늘에서 떨어진 돈으로 널 ‘새경’ 주고 있는 줄 알았다간 큰코다친다.”(김주영의 ‘달맞이꽃’)에서 ‘새경’의 뜻은?
① 품삯이 아닌 고마움의 뜻으로 주는 사례금
② 남의 식솔을 먹여 살리는 데 드는 고정적인 비용
③ 주인이 데리고 있는 식객의 빚을 대신 갚아 주는 돈
④ 머슴이 주인에게서 한 해 동안 일한 대가로 받는 돈이나 물건
- 다음에서 ‘갈래다’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정신이 혼란하여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되다.
② 섞갈려 바른 길을 찾기 어렵게 되다.
③ 짐승이 갈 바를 모르고 왔다 갔다 하다.
④ 중요한 일에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이다.
- 다음에서 ‘알갱이’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생선을 고를 때에는 알갱이가 큰 것을 골라라.
② 수수 알갱이 서너 주먹 넣고 죽을 끓이다.
③ 돌아가는 형세가 납덩이 알갱이마냥 침중하다.
④ 먼지 한 알갱이라도 남김없이 다 털어 놓아라.
※ 정답 긁어 주세요.
1.-①, 2.-③ 3.-②, 4.-④, 5.-④, 6.-④ 7.-①. |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