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질 문 |
부사의 끝 음절은 ‘-이’와 ‘-히’로 적을 수 있는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해서 적어야 합니까? |
답 변 |
국어에서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다음의 예와 같이 ‘-이’나 ‘-히’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부사의 끝 음절은 어떤 기준에 의해 ‘-이’로 적기도 하고 ‘-히’로 적기도 하는 것일까요? 이는 ‘한글 맞춤법’ 제51항의 “부사의 끝 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와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제51항)라는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즉, 개개 단어의 발음에 따라 달리 적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이 규정은 같은 단어를 사람에 따라 다르게 발음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적용하기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유성자음(유음, 비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빈번하게 약화되므로 개개 단어의 발음에 따라 ‘-이’와 ‘-히’를 구분해서 적기가 쉽지 않습니다.
(2ㄱ)은 첩어 또는 준첩어인 명사, (2ㄴ)은 ‘-하다’가 붙는 어근 가운데 끝소리가 ‘ㅅ’인 어근, (2ㄷ)은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2ㄹ)은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의 어간, (2ㅁ)은 부사 뒤에서 ‘-이’로 적는 예입니다.
(3ㄱ)은 ‘-하다’가 붙는 어근(단, ‘ㅅ’ 받침 제외) 뒤에서 부사의 끝 음절을 ‘-히’로 적는 예입니다. ‘도저히, 무단히, 열심히’ 등도 ‘도저(到底)하다, 무단(無斷)하다, 열심(熱心)하다’ 등이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사전에 올라 있는 말이어서 ‘히’로 적는 예입니다. (3ㄴ)은 ‘익히, 특히’가 ‘익숙히, 특별히’가 줄어진 말로 보아 ‘히’로 적는 예이고, (3ㄷ)은 (2ㄹ)처럼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의 어간 뒤이지만 ‘작히’의 ‘작-’을 ‘작다’와 의미 관련 짓기가 쉽지 않아 익어진 발음대로 ‘히’로 적는 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