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이야기
여름비는
더워야 오고 가을비는 추워야 온다 ~ 여름에 날이
무더우면 비가 오고, 가을에
쌀쌀하고 추우면 비가 온다는 뜻.
메뚜기도
유월(六月)이 한철이다 ~ ① 제때를 만난 듯이
날뛰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②
무엇이든지 전성기(全盛期)는 매우 짧다는 뜻.
유월(六月) 장마에 돌도 큰다 ~ 장맛비가
올 때는 모든 것이 쑥쑥 잘 자란다는 뜻.
더위
먹은 소 달만 보아도 헐떡인다 ~ 더위 먹은 소는
달을 보아도 해인 줄 알고 더워 헐떡인 말로, 한번 크게 욕을 본 사람은 그와 비슷한 것만
의심하며 두려워한다는 뜻.
아름다운 우리말
섟(이) 삭다: 순간적으로 불끈 일어났던 감정이 풀리다. 상대편이 좋게 대하는
바람에 금방 섟이 삭고 말았다.
숫되다
: 언행이 순진하고
어수룩하다. 숫된 시골 처녀.
짊다 : 지게, 수레
따위에 짐을 얹다. 지게에 장작을 짊다.
길마
:
짐을 실으려고 소의 등에 얹는 안장. 길마 무거워 소 드러누울까
(어떤
일을 앞두고 힘이 부족할까 겁을 내지 말라는 뜻의 속담).
안갚음 :
①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것.
②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여 은혜를 갚는 것. 어버이가 자식을 키우고 가르치는 것은 그
자식이 자란 뒤에 안갚음을 받기 위한 것이 아니고, 부모된 도리를 다하려는
것뿐이다.
고샅길 : 마을의 좁은 골목길. 달빛은 밝고
인적은 고요하나 아는 사람을 혹시 만날런지 몰라서 될 수 있는 대로 고샅길을
걸어왔네. [홍명희의 [林巨正]에서]
훈민정음(訓民正音) 서문가(序文歌) 현상 공모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인류 문화의 금자탑인 ‘한글’창제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 우리 문자의 소중함을 새롭게 인식하고자 ‘훈민정음 서문’에 붙일 곡을 다음과 같이 공모합니다.
1. 응모 자격: 대한민국 국민(학력·연령·직업 제약 없음)
2. 응모 분야: 국악 부문·양악 부문 등 제약 없음.
3. 작품 접수
제출 서류: 참가 신청서(소정 양식) 1부, 창작 악보 1부
응모 기간: 1999년 6월 15까지
접수 장소: 100-120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5-1 덕수궁 내 국립국어연구원
어문실태연구부
※우송해
주셔도 됩니다.
4. 가사(훈민정음 서문)
나랏말씀이 중국에 달라
문자와로 서로 사맟지 아니할새
이런 전차로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배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시러 펴지 못할 놈이 하니라.
내 이를 위하여 어엿비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맹가노니
사람마다 하여 수이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 위의 가사를 1, 2절로 나눌 수도 있고, 한 절(節)로 묶을 수도 있음.
5. 심사 기준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을 것.
장중하고 고아(高雅)하면서도 흥겨운 멋이 풍겨날
것.
6. 시상
선정 작품 수: 1∼2곡
현상금: 당선작 곡당 500만 원
당선작 발표: 1999년 8월 중(개별 통지함)
7. 유의 사항
가사는 위에서 보인 대로(총 108자) 하며 바꾸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본인의 미발표(未發表) 순수 창작품이어야 합니다.
응모한 작품은 반환하지 않습니다.
당선작이 결정될 때까지 응모작을 다른 곳에 발표할 수 없습니다.
당선작의 저작권은 국립국어연구원이 소유합니다.
8. 응모 관련 문의
국립국어연구원 전화: (02)779-4816 / 전송: (02)779-4820
「새국어소식」 원고 및 의견을 받습니다
─ 국어 선생님들의 「새국어소식」
원고를 접수합니다. 원고로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불합니다. 이
밖에 국어 생활을 하다가 겪는 여러가지 어려움이나 국어 생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알려 주십시오.
기간:1999년
6월 20일까지
전화 (02)779-4816.
팩스 (02)779-4820
컴퓨터
통신 kacademy(천리안). nakl(하이텔)
[email protected] (인터넷 전자우편)
21세기 세종 계획, 국립국어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 홈페이지 http://www.sejong.or.kr
문화관광부에서
추진하는 국어 정보화 사업인 21세기 세종 계획의 홈페이지와 국립국어연구원의
홈페이지가 새롭게 개설되어 3월부터 시험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새롭게
꾸며진 홈페이지에는 21세기 세종 계획의 내용과 국립국어연구원의 각종 연구
사업이 소개 되어 있습니다. 21세기 세종 계획 부분에는 세종 계획의 전반적인
내용과 1998 년도 사업 결과물이 등록되어 있는데 특히 각종 문헌을 입력한
말뭉치 자료들과 관련 프로그램의 일부가 자료실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
부분에는 국립국어연구원의 각종 연구 사업의 내용과 「새국어소식」과 같은
발간물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앞으로 홈페이지를
통하여 정기간행물이나 연구 보고서의 내용을 파일로 제공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게 국립국어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보다 좋은
홈페이지가 되도록 많은 조언을 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국어문화학교 개강
─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바르고 품위 있는 언어 생활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매년 국어문화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의 세 번째 강좌인 번역반(6.16.∼6.18. 10:00∼16:40)에서는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 언어 예절, 바른 문장 쓰기 등의 내용을 강의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02)779-4816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팩스 (02)779-4820)
가나다 전화
─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 언어 예절 등 국어 생활 전반에 걸쳐 궁금한 점을 전화로 물으시면
바로 답변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문의 전화
(02)771-9909[9909’는 ‘국어 연구’의 발음을 본뜬 것임]
주위 사람들과 돌려 보세요. 여기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과 상관없이 다른곳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 책자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문예진흥기금으로 발간된 것입니다.)
제자(題字):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