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 '하여야 겠다'와 '하여야겠다' 중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입니까? (이자영, 경기도 포천군) |
위의 '먹어야겠다, 싶단다, 그렇잖아도, 가잔다, 이긴댔어'는 '먹어야 하겠다, 싶다고 한다, 그렇지 않아도, 가자고 한다, 이긴다고 했어'가 줄어든 말입니다. 그런데 이 말들은 줄어들기 전에는 띄어 쓰는 것이 가능했지만 하나로 줄어든 다음에는 띄어 쓰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그렇잖아도, 가잔다, 이긴댔어' 등은 줄어들기 전에는 '그렇지∨않아도', '가자고∨한다', '이긴다고∨했어'로 띄어 쓰는 것이 가능했지만 하나로 줄어든 다음에는 띄어 쓰는 경계가 사라져서 더 이상 띄어 쓸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여야∨하겠다' 또한 '하여야겠다'로 줄어든 이상 띄어 쓰는 경계가 없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여야겠다'로 붙여 써야 맞습니다.
물음 저는 '애들아, 과학이랑 놀자'라는 제목의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종종 '애'와 '얘'의 표기가 혼동되곤 했었는데, 이번 행사를 준비하면서 '애들아'가 맞는 표기인지 '얘들아'가 맞는 표기인지 확신이 서지 않아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애'와 '얘'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송순자, 서울시 중랑구 망우동) |
답 '얘들아, 과학이랑 놀자'가 맞습니다. '애'와 '얘'의 쓰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애'는 '아이'의 준말로 지시관형사나 다른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얘'는 지시관형사 '이'와 '아이'가 줄어든 표현으로 주로 문장의 첫머리에서 대상을 지시하거나 부를 때 쓰이며 다른 지시관형사의 수식을 받지 않습니다.
질의하신 제목 '애들아 과학이랑 놀자'의 '애들아'는 대상을 직접적으로 부르는 경우이기 때문에 '이 아이들아'가 줄어든 형태인 '얘들아 과학이랑 놀자'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물음 "처음치고 잘했어. 도와주는 셈치고 하자."라고 쓰려고 합니다. '처음치고'와 '셈치고'에서 '치고'의 띄어쓰기가 궁금합니다. (서홍미, 경기도 광명시) |
답 "처음치고 잘했어.", "도와주는 셈 치고 하자."로 띄어 써야 합니다.
'치고'는 조사와 동사, 두 가지가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조사와 동사의 풀이를 다음과 같이 하고 있습니다.
'치고'가 '각자 낸다고 치고 계산했다.', '식구 한 명 없는 셈 치고 산다.' 등과 같이 '인정하거나 가정하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치다'의 활용형이므로 앞의 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체언 뒤에서 '그 전체가 예외 없이', '그중에서는 예외적으로'라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조사이므로 앞의 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아이치고 예쁘지 않은 아이 없다.', '젊은
사람치고 점잖다.' 등에서 그 쓰임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치고 잘했어.'에서의 '치고'는 '그중에서는 예외적으로'의 뜻으로 쓰인 조사이므로 앞의 말과 붙여 써야 하고, '도와주는 셈 치고 하자.'의 '치고'는 '인정하거나 가정하다'는 뜻으로 쓰인 동사 '치다'의 활용형이므로 앞의 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물음 어미 '-노라고'는 예스러운 표현이고 '-느라고'는 그에 해당하는 현대적인 표현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두 어미에 의미 차이가 있는지요? (아키타 아유미, 일본인 유학생) |
답 문의하신 '-노라고'와 '-느라고'는 동일한 어미의 예스러운 표현과 현대적인 표현이 아닌 전혀 다른 어미입니다. 맞춤법 규정 제57항에서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고 하면서 '-노라고'와 '-느라고'가 다른 어미임을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예문 (2)의 '-노라고'는 화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인 반면, 예문 (3)의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 절의 사태에 목적이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라고'가 예스러운 표현에서 주로 쓰이기는 하나 '-느라고'가 어미 '-노라고'의 현대형이 아님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 외에 어미 '-노라', '-노라니', '-노라니까' 등도 '-느라', '-느라니', '-느라니까'로 쓰면 의미가 전혀 달라지거나 잘못된 사용이 되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예문 (4), (5), (6)에 쓰인 어미 '-노라', '-노라니', '-노라니까'는 모두 화자와 관련된 어미로 '-노라'는 자기의 동작이나 행동을 선언하거나 감동의 느낌을 나타내며, '-노라니'와 '-노라니까'는 둘 다 화자 자신이 하는 행동이 다른 어떤 일의 원인이나 조건이 됨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문 (4)의 세 번째 문장에 사용된 어미 '-느라'는 앞 절의 사태가 뒤 절의 사태에 목적이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노라'와 별개의 어미입니다.
그러므로 '-노라', '-노라니', '-노라니까'와 '-느라', '-느라니', '-느라니까'는 구별하여 써야 합니다.
물음 북한에 있다고 하는 '단군릉'은 '단군릉'이 맞습니까, '단군능'이 맞습니까? 또 발음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김영호, 서울 강남구 개포동) |
답 '능/릉'은 한자어 밑에서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아 '릉'으로 적고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서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여 '능'으로 적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11~12항)
그러므로 한자어 '단군(檀君)' 다음에 적는 '능/릉'은 '단군릉'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단군릉'의 발음에 대해서는 '[단굴릉]'이나 '[단군능]'으로 발음하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표준 발음법 제20항에서는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다만' 조항에서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위의 예들은 'ㄴ'과 'ㄹ'이 연이어 나올 때 [ᄙ]로 발음하지 않고 [ᄔ]으로 발음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설명만으로는 (3)의 예들을 [ㄹㄹ]로 발음할지 [ㄴㄴ]으로 발음할지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현실적으로는 '공권력'을 [공꿘녁]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고, [공꿜력]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2)와 (3)의 가장 큰 차이는 (2)는 더 이상 분석이 어려운 데 비해 (3)은 '공권+력', '결단+력', '상견+례', '의견+란'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2)와 (3)의 발음 차이를 설명하는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먼저 '권력'과 같이 더 이상 분석이 되지 않는 말에 연이어 나타나는 'ㄴㄹ'은 [ㄹㄹ]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3)의 '공권', '결단', '상견', '의견'과 같이 자립적으로 쓰이는 말이 있는 경우에는 'ㄴㄹ'을 [ㄴㄴ]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은 '공권', '결단'과 같이 자립적으로 쓰이는 말은 복합어의 일부가 될 때에도 받침의 형태와 발음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천리[철리]', '삼천리[삼철리]'와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발음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단군릉'은 '단군'과 '릉'으로 분석되고 '단군'은 자립적인 요소이므로 [단군능]으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 발음입니다.
물음 '첫 번째'는 '첫 번째'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까, '첫번째'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까? (황명숙, 경기도 부천) |
답 '첫 번째'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첫 번째'는 관형사 '첫'과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번째'가 이어진 말로, 맨 처음의 차례나 횟수를 뜻합니다.
일부 사전에서는 '첫 번째'의 '첫'이 '두 번째', '세 번째' 등의 '두'나 '세'처럼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첫 번째'를 '두 번째', '세 번째' 등과 달리 아예 한 단어로 붙여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서 '첫'은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두', '세', '네' 등은 수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모두 관형사이므로 특별히 '첫'만 뒷말과 붙여 쓸 이유가 없습니다. 더구나, '첫 번째'는 '두 번째', '세 번째' 등과 연결 선상에 있는 말이므로 '첫 번째'만 달리 처리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모두 붙여 쓰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두 붙여 쓰려면 이들을 모두 합성어로 보아야 하는데, '아흔아홉번째' 등을 합성어로 다루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게다가 무한으로 이어지는 수와 '번째'의 결합을 모두 합성어로 볼 수는 없습니다.
결국, '첫 번째'를 포함하여 관형사 뒤에 '번째'가 이어진 말은 다음과 같이 뒷말과 띄어 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